[Hinews 하이뉴스] 바이엘 코리아가 지난 19일 사내에서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인식 제고와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당뇨병은 말기 신장병의 주요 원인으로, 국내 30세 이상 성인 약 533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 이 중 30~40%는 만성신장병으로 진행되며, 초기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다.

이번 교육에는 김성래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 ‘2형 당뇨병과 만성신장병’을 주제로 강연을 맡았다. 직원들은 퀴즈와 소변 딥스틱 자가검사를 통해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신장 건강 상태를 직접 확인했다.

김 교수는 “당뇨병 환자가 만성신장병 말기에 이르면 사망 위험이 최대 7배까지 높아진다”며 “혈당 조절뿐 아니라 정기적인 소변·혈액검사를 통해 신장 질환을 조기 발견하는 게 필수”라고 강조했다.

바이엘 코리아는 지난 19일 직원들을 대상으로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바로 알기’ 사내 질환 교육을 진행했다. (바이엘 코리아 제공)
바이엘 코리아는 지난 19일 직원들을 대상으로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바로 알기’ 사내 질환 교육을 진행했다. (바이엘 코리아 제공)
신장 기능은 혈액검사로 추정사구체여과율(eGFR), 손상 여부는 알부민뇨 검사(UACR)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매년 최소 1회 이 두 가지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미 진단받은 환자는 2~4회 이상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자가 검사법인 소변 딥스틱 검사에서 단백질 영역이 초록색으로 나타나면 알부민뇨 가능성이 있어 반드시 의료진 상담이 필요하다.

또한 김 교수는 “만성신장병 치료 핵심은 알부민뇨 감소”라며 “미국당뇨병학회는 알부민뇨 수치 300mg/g 이상 환자에게 30% 이상 감소를 권고한다”고 말했다.

최근 CONFIDENCE 연구 결과, 케렌디아와 SGLT-2 억제제 병용 시 알부민뇨가 단독 치료군보다 29~32% 더 감소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끝으로 그는 “식이 조절(소금 5g 이하, 단백질 0.8g/kg 이하), 꾸준한 운동, 체중 관리, 혈당·혈압·지질 조절이 만성신장병 관리에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정현정 바이엘 코리아 포트폴리오 리드는 “직원들이 질환을 잘 이해하고 조기 진단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게 환자 혜택 확대의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교육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