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연보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11만3610명으로 2004년(3만3000명) 대비 약 3.4배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0.97밀리시버트(mSv)에서 0.36mSv로 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04년부터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을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방사선 노출 위험이 높은 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보를 발간해왔다. 방사선관계종사자는 진단용 방사선 장비를 관리·운영·조작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을 말한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추이를 보면,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9만7801명에서 11만3610명으로 16% 증가했다. 같은 기간 1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0.40mSv에서 0.36mSv로 10% 감소했다.
직종별로는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가 전체 종사자의 74% 이상을 차지했다. 방사선사의 평균 피폭선량은 0.73mSv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는 0.13mSv로 가장 낮았다. 특히 20대 방사선사의 평균 피폭선량은 1.25mSv로 모든 연령·직종 중 가장 높았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방사선은 질병 진단과 치료에 필수지만, 불필요한 노출은 건강에 위해가 될 수 있다”며 “종사자들이 보호장비를 제대로 착용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인식 개선과 피폭선량 관리에 힘쓸 방침이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