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건국대학교병원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진단과 치료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분석 플랫폼 ‘SNAPPY(Stroke Network Application for You)’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CT 및 MRI 영상에서 뇌경색 범위, 관류 저하 영역, 반음영(penumbra), 대혈관 폐색 가능성, ASPECTS 점수 등을 자동 분석해 제공한다. 의료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응급 상황에서 보다 빠르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SNAPPY는 분석 기능뿐 아니라, 실시간 알림·의료진 간 채팅·영상 공유 등 협진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건국대병원 신규외래센터 (사진 제공=건국대병원)
건국대병원 신규외래센터 (사진 제공=건국대병원)
환자의 영상은 클라우드 기반 뷰어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고, 분석 결과는 병원 PACS와 연동돼 진료팀 전체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병원 측은 SNAPPY 도입으로 영상 촬영부터 치료 결정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존보다 최대 110분까지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급성기 뇌졸중 치료의 핵심인 골든타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홍기 건국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SNAPPY는 진단 정확도뿐 아니라 처치 속도까지 함께 높일 수 있는 실용적인 도구”라며, “AI 기반 진단 기술을 활용해 환자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