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약물접합체, 세포적성항암제와 표적치료항암제의 장점 합쳐져 ...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외 음성 유방암과 다른 암종에도 임상시험효과

한국다이이찌산쿄항암제사업부메디컬팀고형문이사가28일미디어아카데미에서ADC항암제‘엔허투’의이점을소개하고있다.
한국다이이찌산쿄항암제사업부메디컬팀고형문이사가28일미디어아카데미에서ADC항암제‘엔허투’의이점을소개하고있다.
항암제 분야에서 기대주인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Conjugate, ADC)’의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암종과 조직을 불문하는 항암시대가 열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모이고 있다.

한국다이이찌산쿄는 28일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넥스트 제네레이션 ADCs'를 주제로 미디어 아카데미를 가지고, 아스트라제네카와 함께 개발한 허셉틴(트라스투주맙) 기반 ADC 항암제 ‘엔허투’의 이점과 ADC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ADC는 암세포 표면의 특정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Antibody)와 세포사멸 기능을 갖는 약물(Payload)을 링커(Linker)로 연결하여 만든 항암제다. 항체의 표적을 따라 암세포에만 강한 효과의 항암제를 전달해 작용시켜 치료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다. 환자의 신체에 대한 부담이 적어 기존 항암제보다 투약 횟수를 늘릴 수 있어, 재발 위험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DC의기전도식도.기존ADCvs.인접종양세포사멸효과를가진엔허투®
ADC의기전도식도.기존ADCvs.인접종양세포사멸효과를가진엔허투®
간단하게 설명해 암세포 파괴능력을 높지만 전신에 부작용을 부르는 세포독성항암제와 암세포만을 찾아가지만 효과는 적은 표적항암치료제의 장점을 모은 복합항암치료제다. 때문에 ADC를 ‘마법의 탄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히 엔허투는 자체 개발한 전단형 링커를 사용해 기존의 ADC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암세포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다이이찌산쿄의 설명이다. 비절단형링커는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려우나 절단형 링커는 세포막을 통과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테인 접합방식을 사용해 균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국다이이찌산쿄 항암제사업부 메디컬팀 고형문 이사는 “엔허투는 신체 내 저항성적이 적은 ‘토포이소머라제 I 저해제 페이로드’를 선택적 절단 링커로 연결해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며 “유방암 표적 단백질인 ‘HER2’가 적게 발현되는 환자에서도 높은 무진행성 생존률을 보여 효과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6월 진행된 미국 임상종양학회학술회의(ASCO 2022)에서 발표된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서 엔허투가 캐싸일라를 비롯한 기존 ADC 대비 뛰어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엔허투 치료군의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10.1개월로 항암화학요법군의 5.4개월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았으며, 사망위험은 50% 감소했다.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역시 23.9개월로 화학요법군은 17.5개월보다 높았다.

또한 HER2가 발현되지 않는 HER 음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항암화학치료 효과가 좋지 않은 폐암, 위암, 대장암을 비롯, 두경부암과 비뇨생식기암, 림프로 등 다양한 암종에서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보여,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는 항암제의 탄생을 기대하게 하고 있다.

고형문 이사는 엔허투의 7가지 주요 속성으로 △새로운 작용 기전 △ 고효력의 암 살상력 △ 높고 균일한 약물과 항체 비율 △전신 반감기가 짧음 △ 안정적인 링커 alv 페이로드 기술 △종양 선택적 절단 가능한 링커 △인접 종양세포 사멸 효과 등을 꼽았다.

국내에서 엔허투는 지난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를 받았으며 한국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공동으로 판매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엔허투의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전까지 환자지원프로그램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