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고려대학교 메디사이언스파크 내 ‘정몽구 미래의학관’이 지난 16일 공식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내 첫 민간 주도 백신 개발 전주기 플랫폼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는 병원측의 설명이다.

정몽구 미래의학관은 2021년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팬데믹 대응을 위한 연구와 백신 개발을 위해 고려대에 100억 원을 기부하면서 시작됐다. 이번 개관은 백신 주권 확보를 위한 민간 중심 연구 인프라 구축의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핵심 시설인 ‘백신혁신센터’는 생물안전 3등급(BL3) 실험실, 광학영상장비, 세포 분석 시스템 등 첨단 연구 장비를 갖췄고, 향후 GCLP급 분석 시설도 추가된다. 이곳은 현재 모더나와 협력해 mRNA 기반 한타바이러스 백신을 공동 개발 중이며, 2027년 임상 1상 완료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몽구 미래의학관이 전격 개관했다. 지난 16일 열린 준공식 행사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이를 기념하는 테이프를 커팅하고 있다. 왼쪽 네번째부터 편성범 고려대 의과대학장, 윤을식 의무부총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재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김동원 고려대학교 총장, 승명호 고려대 교우회 회장 (고대의료원 제공)
고려대학교 정몽구 미래의학관이 전격 개관했다. 지난 16일 열린 준공식 행사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이를 기념하는 테이프를 커팅하고 있다. 왼쪽 네번째부터 편성범 고려대 의과대학장, 윤을식 의무부총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재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김동원 고려대학교 총장, 승명호 고려대 교우회 회장 (고대의료원 제공)
고려대는 정몽구 미래의학관을 기반으로 감염병 대응뿐 아니라 의학, 바이오, 통계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오픈 이노베이션 연구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백신뿐 아니라 정밀의학, 의료기술 상용화 등 다각도의 융합 연구도 추진된다.

김동원 총장은 “이번 개관은 국내 백신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릴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정몽구 명예회장님의 뜻을 이어받아 글로벌 보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병원이 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