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R&D 지원 통해 지역 의료격차 해소 및 연구 인프라 강화 추진

[Hinews 하이뉴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역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R&D)’을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3년간 총 500억 원을 투입하며,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 등 5개 병원을 지원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고 오늘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역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R&D)’을 본격 추진한다.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역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R&D)’을 본격 추진한다. (보건복지부 제공)

이번 사업은 국립대병원을 지역 필수·공공의료체계의 중추 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보건복지부는 교육, 연구, 임상 기능이 균형 있게 발전해야 한다는 판단 아래, 우수인력 확충, 첨단 인프라 구축, 혁신적 R&D 지원, 규제 개선을 포함한 패키지형 지원정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2025년까지 전임교원 330명 증원과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최종치료 역량 강화에 812억 원을 신규 투자하는 등 대규모 과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과 연계해, 지역 의료기관이 수도권 대형병원과 비교해 뒤처지고 있는 연구 인프라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R&D 투자가 본격화된 것이다.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R&D)’은 지역 국립대병원이 자체적으로 보건의료 연구계획을 수립하고, 핵심 인프라(코어 퍼실리티)와 특화 연구기반을 갖추도록 3년간 기관당 약 100억 원 내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연구비는 블록펀딩 방식으로 제공되며, 지역 내 산·학·연·병 협력체계와 연계한 연구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아울러 각 병원에는 ‘지역의학 연구협력 지원센터’가 설치되어, 연구 장비 활용,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전담할 전문인력을 배치함으로써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한다. 연구 주제와 방법은 각 지역의 필수의료 수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기획·추진할 수 있다.

이번 공모에는 전국 9개 국립대병원이 모두 지원했으며, 서류 및 발표평가를 통해 5개 병원이 최종 선정됐다.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국립대병원은 교육, 연구, 임상을 고루 갖춘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지역의료를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번 사업은 지역 필수의료 체계와 임상 인프라를 동시에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수도권 대형병원에 버금가는 연구 경쟁력을 지역에서도 확보할 수 있도록 R&D 투자 확대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