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국내 폐암 수술이 지난 14년 동안 뚜렷하게 변화하고 있다. 고령층과 여성 환자가 늘고, 최소침습 수술 도입으로 수술 자체는 더 안전해졌다.

박성용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조수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박사, 함명일 순천향대 교수 연구팀은 2010~2023년까지 건강보험 청구 자료 12만4334건과 로봇수술 1740건을 분석해 대한암학회지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박성용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함명일 순천향대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왼쪽부터) 박성용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교수,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함명일 순천향대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연구에 따르면 폐암 수술은 2010년 4,557건에서 2023년 1만4184건으로 3배 넘게 늘었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도 42.8건에서 61.6건으로 증가했다.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지만, 고령 인구가 늘면서 실제 수술 환자 수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70~79세 환자 비율은 26.3%에서 32.3%로, 80세 이상도 2.0%에서 6.2%로 올랐다. 중증 동반질환 환자 비율도 9.0%에서 17.4%로 증가했다.

여성 환자 증가도 눈에 띈다. 2010년 32%였던 비율은 2023년 44.7%로 늘었다. 대부분 비흡연자였으며, 간접흡연, 요리 중 노출, 대기오염 등이 원인으로 추정됐다. 검진 확대와 수명 증가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수술 기법 변화도 뚜렷하다. 2010년 52.9%였던 비디오흉강경 수술 비율은 2023년 94.8%로 높아졌다. 개흉 수술은 줄고, 쐐기절제술(8.2% → 18.5%), 분절절제술(4.2% → 9.6%)처럼 폐를 최대한 보존하는 수술이 늘었다.

로봇수술도 주목할 변화다. 전체 비중은 아직 낮지만, 2023년엔 개흉 수술 건수(291건)를 로봇수술(450건)이 처음으로 넘어섰다.

이런 변화는 성과로 이어졌다. 입원 기간은 2010년 평균 13일에서 2023년 7일로 줄었고,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률도 2.45%에서 0.76%로 낮아졌다.

강단비 교수는 “전국 단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폐암 수술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보여준 첫 연구”라고 설명했다. 박성용 교수는 “더 많은 환자가 안전하게 수술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지만,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와 수술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