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상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와 한윤대 대장항문외과 교수, 이인석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교수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 조직을 대상으로 단세포 유전자 분석을 진행한 결과, 푸조박테리아 감염 여부에 따라 면역 반응이 뚜렷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Gut Microbes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에 따르면 푸조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들은 대장암 종양 내 면역 환경에서 IgA 형질세포의 성숙이 억제돼 있었다. IgA는 장내 세균의 침투를 차단하고 염증 반응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세균은 대식세포와의 상호작용을 방해해 IgA 생성을 저해했고, 이로 인해 종양 내 세균 부담이 증가하면서 예후가 나빠졌다.

김한상 교수는 “푸조박테리아가 대장암의 치료 예후를 악화시키는 면역 교란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라며 “향후 IgA 발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맞춤형 면역치료 전략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질병관리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산업진흥원, 한국연구재단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