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병은 초기 증상이 허리디스크와 매우 비슷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진행 속도를 크게 늦출 수 있어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상헌 건국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운동이나 활동 후 통증이 완화되고, 아침에 일어날 때 30분 이상 지속되는 조조 경직감이 있다면 강직척추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허리디스크는 주로 외부 충격이나 노화로 인해 척추 사이의 디스크가 탈출하면서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구조적 문제다. 반면 강직척추염은 면역체계가 자신의 척추 관절을 공격해 만성 염증이 발생하고, 이 염증이 골화 과정을 거쳐 척추와 인대를 단단하게 만든다.
증상 또한 명확히 구분된다. 허리디스크 환자는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고, 휴식 시 통증이 줄어드는 반면, 강직척추염 환자는 활동할수록 통증이 줄고 오히려 휴식 중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상헌 교수는 “강직척추염 환자는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이 매우 중요하다”며 “장시간 누워 있거나 가만히 있으면 통증과 강직이 심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강직척추염은 단순 요통에 그치지 않고, 눈의 포도막염, 심장과 폐 등 다른 장기에도 염증이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전신 관리가 필수적이다. 면역 억제 치료와 다학제 진료를 통해 전신적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치료 목표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강직척추염으로 진료받은 환자 약 11만5000명 중 20~39세가 약 45%, 남성이 70%를 차지할 만큼 젊은 남성에게 흔한 질환이다. 특히 가족력이 있다면 초기 증상을 간과하지 말고 신속히 전문 진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문제는 초기 증상이 단순 근육통이나 허리통증으로 오인되기 쉽다는 점이다. 많은 환자가 진통제 복용이나 침 치료에 의존하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 시기를 놓치기도 한다. 이상헌 교수는 “류마티스내과를 조기에 방문하면 혈액검사, 엑스레이, MRI 등으로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직척추염은 완치가 어렵지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면역조절제, 생물학적 표적 치료제 등 다양한 약물 치료로 염증을 조절하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 특히 아침마다 척추 유연성을 유지하는 가벼운 운동이 중요하다. 금연과 적절한 체중 유지,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도 병의 악화를 막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이상헌 교수는 “직장이나 운전 중에는 1시간마다 잠깐씩 일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강직척추염은 기계적 손상이 아닌 면역 이상에 의한 만성 염증 질환으로, 수술보다는 류마티스내과의 표적 면역치료를 받는 게 치료 성공률을 높이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