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의 연골이 서서히 퇴화하고 손상되는 질환으로 노화와 관련 있는 질환이다. 이러한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사용하는 모든 부위에서 발생 가능하며 대표적으로 하지 관절들, 즉 우리의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무릎의 경우 과도한 압력 및 충격이 가해지며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외상 및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돼 발생될 수 있으며 발병 시 관절 통증, 경직, 관절 주변이 부풀어 오르는 부종 및 관절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보인다.

수술적 치료는 대표적으로 관절내시경 수술, 줄기세포 연골재생술, 인공관절 치환술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통증 완화, 다리 변형 교정, 정상적인 활동 재개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특히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 손상된 무릎 연골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내구성이 좋은 금속으로 제작된 맞춤형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물감이 적고 내구성이 높아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인공관절 치환술은 환자 개개인의 무릎 상태와 환자의 나이 등 세부적인 사항을 고려 후 수술이 결정되기 때문에 세밀한 검사를 받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수술 이후엔 안정적인 보행 능력 향상을 위해 3개월 이상 꾸준한 재활 치료를 병행하며 무릎 기능 회복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퇴행성 관절염 발병 시 반드시 세밀한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보는 것 또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글 : 김방현 세종시 서울현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