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70대 여성 A씨는 몇 년 전부터 키가 눈에 띄게 줄고 허리가 굽어 걷기가 불편해졌다. 처음에는 나이 탓이라 생각했지만, 점점 숨이 차고 소화도 잘 되지 않아 병원을 찾았다. 정밀 검사 결과, ‘노인성 척추후만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우리 척추는 목(경추), 등(흉추), 허리(요추), 엉치뼈(천추)로 나뉜다. 정상적으로는 측면에서 목과 허리는 앞으로 볼록하고, 등과 엉치뼈는 뒤로 휘어진 곡선을 유지한다. 하지만 노화와 잘못된 자세, 운동 부족이 겹치면 등 부위의 척추가 지나치게 앞으로 굽어 ‘척추후만증’이 된다. 특히 고령에서는 골다공증으로 인해 척추 뼈가 약해져 압박골절이 생기면서 증상이 심해진다. 척추관 협착증도 동반되면 허리를 구부린 자세를 자주 취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근육이 약해져 척추 굽음이 고착된다.

노년층 등 굽음은 단순 노화가 아니라 ‘노인성 척추후만증’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노년층 등 굽음은 단순 노화가 아니라 ‘노인성 척추후만증’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노인성 척추후만증은 단순히 ‘등이 굽는 현상’으로 넘겨서는 안 된다. 통증과 균형 감각 저하, 쉽게 피로해지는 증상뿐 아니라 심할 경우 흉곽과 복부 장기를 압박해 소화불량, 식욕부진, 호흡곤란 같은 전신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낙상 위험도 크게 높아져 일상생활의 질을 저하시킨다.

안준영 대동병원 과장은 “많은 어르신이 단순히 ‘꼬부랑 할머니’라고 생각하지만, 노인성 척추후만증은 통증과 기능 저하로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척추 굽음으로 균형이 무너지면 낙상과 2차 합병증 위험이 커지므로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진단은 X-ray, CT, MRI, 골밀도 검사 등을 통해 척추 만곡 정도와 골절, 협착증, 골다공증 여부를 종합 평가한다. 치료는 자세 교정, 등·허리 근력 강화 운동, 약물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이 기본이며, 상태에 따라 수술도 고려된다.

안준영 대동병원 과장
안준영 대동병원 과장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등과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이 필요하며, 과체중은 척추에 부담을 주므로 적절한 체중 관리도 필수다. 또한 칼슘과 비타민 D 섭취를 충분히 하고, 정기적으로 골밀도 검사와 척추 검진을 받아 퇴행성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해야 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