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연 교수는 ‘3차원 세포 프린팅 기반 미세혈관-브루크막 모사 망막 모델 개발’ 연구로 국가아젠다연구에 선정돼, 2025년 9월부터 3년간 6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이 연구는 당뇨망막병증과 노인성 황반변성 등 난치성 망막질환의 진행 과정을 인체와 유사한 3D 안구 모델로 정밀 규명하고, 신약 후보 물질의 효능을 검증할 체계적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원 교수는 “말기 황반변성과 당뇨망막병증으로 시력을 잃은 환자들에게 희망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정민 교수는 ‘저산소 미세환경 변화에 따른 인슐린유사성장인자 신호 경로 분석 및 갑상선안병증 치료 전략 개발’ 연구로 중견연구에 선정돼, 3년간 2억1000만 원의 연구비를 받는다. 갑상선안병증은 자가면역으로 인해 안와 조직에 염증과 부종을 일으켜 시력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 교수는 환자 유래 세포와 동물 모델을 활용해 핵심 신호 경로를 분석하고,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그는 “환자들이 실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