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문고리를 돌리거나 병뚜껑을 비트는 순간 엄지 쪽 손목에서 찌릿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손목건초염(드퀘르벵병)’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이 질환은 엄지를 움직이는 힘줄이 손목의 좁은 통로를 지날 때 마찰이 반복되며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방치하면 만성 손목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손목 찌릿’의 정체, 손목건초염

손목건초염의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사용이다.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오래 쥐고 조작하거나, 아기를 안아 올리는 동작, 요리·미용·사무직처럼 손을 자주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히 나타난다. 특히 출산 직후 여성은 관절이 느슨해지며 손목에 부담이 가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통증은 손목을 꺾거나 물건을 꽉 쥘 때, 엄지와 손목 사이에서 전기가 오듯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은 손목 전체로 번지고, 눌렀을 때 욱신거리는 압통까지 생길 수 있다.

손목 찌릿한 통증, 단순한 증상이 아닌 습관에서 비롯된 손목건초염일 수 있습니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손목 찌릿한 통증, 단순한 증상이 아닌 습관에서 비롯된 손목건초염일 수 있습니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방치하면 만성 통증으로... 치료는 조기에


자가진단에는 ‘핑켈스타인 테스트’가 흔히 사용된다. 엄지를 다른 손가락으로 감싼 뒤 손목을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꺾었을 때 예리한 통증이 느껴지면 손목건초염 가능성이 크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료진 진찰과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

초기에는 손목 사용을 줄이고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된다. 필요 시 소염진통제나 국소 주사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하지만 2~3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거나 재발이 잦다면,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를 넓히는 간단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치료 시기는 매우 중요하다. 급성기를 넘기면 염증이 만성화되고, 힘줄이 두꺼워지며 통증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이 경우 통증은 팔까지 퍼질 수 있고, 손 감각 둔화나 근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민슬기 연세스타병원 원장
민슬기 연세스타병원 원장
◇다시 아프지 않으려면, 손목 습관부터 바꿔야


손목건초염은 치료보다 재발 방지가 더 중요하다. 증상이 한동안 좋아졌다고 해도, 손목을 꺾고 힘을 주는 습관이 반복되면 다시 염증이 생기기 쉽다. 손목을 고정한 채 오래 사용하는 자세는 특히 피해야 한다.

민슬기 연세스타병원 원장은 “손목건초염은 단순한 통증이 아닌, 잘못된 사용 습관이 만든 결과”라며 “생활 속에서 손목 사용을 줄이고,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재발 방지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