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69세 김모 씨는 수년간 어깨 통증에 시달리다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파열’ 진단을 받았다. 처음 받은 근육 전진술 후 완전봉합술은 외회전 기능 회복에 실패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계속됐다. 이후 광배근 힘줄 이전술로 재수술을 받고는 어깨 움직임이 크게 개선돼 만족감을 보였다.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봉합이 어려운 심한 파열의 경우, 수술법에 따라 치료 효과와 합병증 위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노규철·이용범 한림대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은 ‘광배근 힘줄 이전술’과 ‘근육 전진술 후 완전봉합술’의 임상 효과를 비교한 메타 분석 결과를 세계 처음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논문 24편, 총 956건 수술 사례를 분석한 결과, 두 수술법 모두 어깨 기능과 통증 개선에 긍정적이었지만, 외회전 회복, 관절 안정성, 합병증 발생에서는 차이가 났다.

광배근 힘줄 이전술은 외회전 기능 회복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에서 우위를 보였다. 합병증 발생률은 18%, 재수술률은 8.9%로 근육 전진술(각각 25.7%, 20.8%)보다 낮았다.

반면 근육 전진술은 관절의 안정성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견봉-상완골 간격이 평균 1.92mm 늘어나 광배근 힘줄 이전술(-0.19mm)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노규철(좌), 이용범(우)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노규철(좌), 이용범(우)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은 환자의 나이, 근육 상태, 기능 요구를 고려해 수술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이거나 외회전 기능 손실이 심한 환자에겐 광배근 힘줄 이전술, 젊고 근육 상태가 양호한 환자엔 근육 전진술이 적합하다고 조언했다.

노규철 교수는 “환자 맞춤형 수술법 선택이 재수술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외과학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7월 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