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골 후방경사각은 무릎 아래뼈(경골)의 뒤쪽 경사를 나타내는 각도로, 개인마다 고유한 차이를 보인다. 이 각도는 후방십자인대의 기능과 무릎 안정성, 관절의 운동역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김 교수팀은 로봇 수술을 통해 환자 고유의 해부학적 특성에 맞춘 맞춤형 수술을 진행, 경골 후방경사각을 수술 전 상태에 맞게 재현할 경우 수술 후 통증과 강직을 줄이고, 환자가 자연스러운 무릎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김중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개인 맞춤형 수술의 중요성을 입증하며, 기존 인공관절 수술에 비해 빠른 회복과 보행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한 “인공관절 수술의 미래는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밀 분석해 최적화된 수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유럽 스포츠의학회 공식학술지 KSSTA에 게재됐으며, 한림로봇인공관절교육센터를 통해 국내외 300여 명 이상의 의사들에게 환자 맞춤형 수술법을 교육하며 로봇인공관절수술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