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강원대학교병원은 김예신, 장재원 신경과 교수가 교육 수준에 따라 인지 예비능(cognitive reserve, CR)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치매 연구 학술지 Alzheimer’s & Dementia 2024년 11월호에 실렸으며,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가 선정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도 이름을 올렸다

인지 예비능은 같은 정도의 뇌 손상이 있어도 사람마다 치매 증상 발현 시기나 속도가 다른 이유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연구팀은 전국 25개 병원이 참여한 정밀의료 치매 코호트(PREMIER)에 등록된 1247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저학력 고령자 집단도 포함한 점이 주목된다.

(왼쪽부터) 김예신, 장재원 강원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강원대학교병원 제공)
(왼쪽부터) 김예신, 장재원 강원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강원대학교병원 제공)
분석 결과, 저학력 그룹(초등학교 졸업 이하)에서는 문해력 부족, 긴 수면시간, 당뇨병이 인지 예비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력 그룹(고등학교 졸업 이상)에서는 문해력 부족, 긴 수면시간, 우울증이 인지 예비능을 해치는 요인으로 확인됐다. 인지 예비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공통적으로 책 읽기 등의 ‘인지 활동’이었다. 다만, 저학력 그룹에서는 걷기 등 신체 활동도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예신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교육 수준에 따라 인지 건강을 지키는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특히 교육 기회가 적었던 고령층에겐 문해력 향상과 일상 속 활동을 늘릴 수 있는 맞춤형 치매 예방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