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절차 진행 중 M&A 본격화… 대주주 권리 포기로 인수 부담 줄어

[Hinews 하이뉴스] 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인수합병(M&A) 과정에서 자사 기업가치를 직접 밝히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홈플러스는 오늘(8일), 자사 전체 기업가치는 7조 원에 달하지만, 실제 인수에 필요한 금액은 이보다 훨씬 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가 자사 전체 기업가치는 7조 원에 달하지만, 실제 인수에 필요한 금액은 이보다 훨씬 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 제공)
홈플러스가 자사 전체 기업가치는 7조 원에 달하지만, 실제 인수에 필요한 금액은 이보다 훨씬 낮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 제공)

홈플러스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자사의 총자산은 약 6조 8,500억 원, 부채는 2조 9,000억 원이며 순자산은 4조 원 규모"라며, "브랜드 가치, 사업의 지속 가능성, 부동산 자산 등을 반영할 경우 전체 기업가치는 약 7조 원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 삼일회계법인이 제출한 보고서를 근거로 한 것이다.

특히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보통주 투자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기로 하면서, 신규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 부담 없이 3조 7,000억 원 수준에서 회사를 인수할 수 있다고 홈플러스는 설명했다. 이는 청산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회생 절차상 인수가격의 최소 기준으로 작용한다.

홈플러스는 "실제 인수 자금은 1조 원 미만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보유 부동산 자산 4조 8,000억 원을 담보로 활용할 경우,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해 약 2조 원 규모의 자금 조달이 가능해, 실투입 금액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홈플러스는 "인수자가 기업가치를 3조 7,000억 원으로 평가하고 인수할 경우, 전체 채권 규모인 약 2조 9,000억 원보다 많아 채권자 동의 확보에도 무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우선주는 3조 7,000억 원 범위 내에서 채권 금액을 제외한 잔여분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M&A 참여를 고려 중인 투자자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자금 구조와 인수 가능성을 전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