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출시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파른 성장세

특히 지난 2024년 11월에 1조원을 돌파한 뒤 불과 8개월 만에 2조원을 달성하면서, 퇴직연금 ETF에 대한 고객의 관심과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연금 ETF는 가입자가 본인의 적립금을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고객 맞춤형 자산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갖춘 상품이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자산의 장기 수익률 향상과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매우 엄격한 기준으로 투자 상품을 선정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를 기반으로 2024년 4분기 이후 50여 종의 ETF를 추가해 현재 총 159종의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장기투자와 고객 수요에 부합하는 상품을 적극적으로 공급한 결과, 판매 잔고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국내에서 가입 가능한 약 800여 종의 퇴직연금 ETF 중에서도 위험 대비 수익률, 보수, 외부 평가등급 등 다양한 기준을 적용해 상품을 선별하고 있으며, 성과가 미흡한 상품은 정기 평가를 통해 판매를 중단하는 등 사후관리 체계도 갖추고 있다.
고객 편의성 개선도 눈에 띈다. 하나은행은 매월 ‘ETF 가이드북’을 제공하고 있으며, 분할매수 시스템 및 적립식 매수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8월 중에는 모바일 앱 ‘하나원큐’에서 ETF 구성 종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하나은행은 지난 3월 금융권 최초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운용 서비스’를 도입했으며, 4월에는 카카오톡을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하나 MP 구독 서비스’도 시작했다.
하나은행 연금사업단은 “손님의 소중한 연금 자산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모든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연금 전문 1등 은행으로서 고객 만족을 위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년 1분기 말 기준,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 내 총 4개 유형 중 적극 투자형, 중립 투자형, 안정 투자형 등 3개 부문에서 은행권 연간 수익률 1위를 기록하며 우수한 운용 성과를 입증한 바 있다.
오하은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