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열대야 속 실외활동 자제, 수분·휴식 철저히”

7월 8일 기준, 응급실에 보고된 온열질환자는 총 1,228명으로, 2011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이래 가장 빠른 시점에 1,000명을 넘어섰다. 특히 이날 하루 동안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238명으로, 2018년 8월 3일 이후 처음으로 일일 발생자 수가 200명을 초과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6월 28일 이후 전국 평균 최고기온이 31도 이상을 유지하면서 온열질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2025년 5월 15일부터 7월 8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1,228명으로, 이 가운데 사망자는 8명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486명) 대비 환자는 약 2.5배, 사망자는 약 2.7배 증가한 수치다.
온열질환자 발생 장소는 실외가 81.1%로 가장 많았고, 특히 작업장(28.7%), 논밭(14.4%), 길가(13.9%) 등 야외활동 중 발생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33.6%, 50대 이상이 61.1%를 차지해, 고령자와 야외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의 건강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질병관리청은 “농어민과 야외작업자는 고온환경에서 장시간 활동을 피하고, 수분 섭취와 충분한 휴식이 필수”라며, “특히 어르신, 어린이, 만성질환자는 폭염과 열대야로 인해 탈진 위험이 크므로 주변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열대야 수면환경 개선을 위한 생활수칙도 안내됐다. 실내 온·습도 관리, 수면 전 샤워, 가벼운 옷 착용,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을 통해 숙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는 예년보다 빠른 폭염과 열대야로 온열질환 위험이 크게 높아졌다”며 “농어민, 야외 근로자뿐만 아니라 노약자 등 기저질환자는 탈수와 건강 악화를 주의해야 한다. 가족과 이웃이 서로 안부를 자주 확인하고, 시원한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