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이어지며 30도를 넘는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한여름 더위는 겨울만큼이나 건강 관리에 신경 써야 하는 시기다. 특히 고령자와 만성질환자는 체온 조절이 어렵고 탈수에 취약해 심각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찌는 듯한 더위, 심장에 경고등 켜지다

뜨거운 환경에 노출되면 우리 몸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압을 낮추지만, 이는 심장에 부담을 준다. 여기에 탈수가 더해지면 혈액이 끈적해지면서 혈전이 생기기 쉬워진다. 한번 생긴 혈전은 쉽게 없어지지 않고 갑자기 혈관을 막아 위험해질 수 있다.

최성준 녹색병원 심장내과 과장은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 질환은 특별한 전조 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와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라고 경고했다.

무더운 여름, 탈수와 혈전 위험으로 급성 심근경색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무더운 여름, 탈수와 혈전 위험으로 급성 심근경색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심근경색은 보통 겨울에 많다고 알려졌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여름에도 겨울과 비슷한 환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대표 증상은 ‘가슴을 조이는 듯한 통증’, ‘심장에 찌르는 느낌’, ‘무거운 돌을 올려놓은 듯한 답답함’이다. 이 밖에도 어지럼증, 심한 두통, 숨 가쁨, 심장 두근거림이 나타날 수 있다.

최 과장은 “여름에는 심근경색 증상을 더위로 오해해 치료가 늦어지기 쉬워, 이상 증상이 느껴지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여름철 심장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

여름철 심근경색 위험 요소로는 무더위와 탈수, 활동량 증가, 과도한 햇빛과 비타민D, 생활 습관 변화, 열사병, 호흡기 감염 등이 있다.

무더위와 탈수, 잦은 활동은 심박수를 높이고 혈관을 확장시켜 심장 부담을 키운다. 긴 일조 시간으로 비타민D가 과다 합성되면 심장 석회화 등 심혈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찬물 샤워나 차가운 음식 섭취 같은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도 심장에 악영향을 준다.

열사병이나 호흡기 감염에 걸리면 전해질 불균형과 혈전 위험이 커져 심부전이나 부정맥 같은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최성준 녹색병원 심장내과 과장
최성준 녹색병원 심장내과 과장
◇여름철 심장 건강 지키는 법

기저질환자는 평소보다 더 자주 건강을 점검해야 한다. 균형 잡힌 식사와 금연은 기본이고, 무엇보다 꾸준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 갈증이 나지 않아도 정기적으로 미지근한 물을 마시고, 그 다음 시원한 물을 마시는 게 좋다.

또한 가장 더운 오후 2~4시에는 외출을 삼가고, 실내외 온도 차를 10도 이내로 유지해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