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교신저자: 이나미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은 전 세계 198개국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약 30년간 경제성장률과 자살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PLOS ONE 2025년 7월호에 실렸다.
분석에 따르면 장기간 경제성장이 정체된 국가일수록 자살률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중·저소득 국가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고소득 국가의 남성 집단에서는 단기적으로 급격한 경제성장이 진행되는 시기에 자살률이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됐다.

이동욱 교수는 “경제성장은 긍정적인 변화로 받아들여지지만, 그 이면에는 정신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구조적 요인이 숨어 있을 수 있다”며 “성장의 속도뿐 아니라 구성원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사회복지, 정신보건 등 안전망을 함께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경제성장의 양상이 자살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장기간 추적해 분석한 첫 글로벌 생태학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