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허리 통증, 다리 저림, 근력 저하를 유발한다. 특히 고령 환자는 수술 부담이 커 안전한 비수술 치료법이 요구된다.
한의학에서는 침, 약침, 추나요법 등으로 치료하는데, 약침은 한약 성분을 체내에 직접 주입해 치료 효과를 높인다. 경막외 약침은 척추신경 주변 염증과 통증을 집중적으로 완화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하거(태반 추출물) 약침이 신경 재생과 통증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세포와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자하거 약침은 손상된 신경세포 생존율을 높이고, 통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억제했다. 또한 염증 유발 인자는 줄이고 항염 인자는 활성화하며 신경 회복을 촉진했다.

홍진영 박사는 “스테로이드 주사와 달리 부작용 걱정이 적고 근본적 신경 재생과 염증 완화에 도움을 준다”며 “향후 임상 적용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