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추석 연휴 동안 미뤄뒀던 드라마나 예능을 몰아보려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화면을 쳐다보는 건 목, 어깨, 허리 근육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누워서 스마트폰이나 TV를 보는 습관은 척추 근육을 약하게 만들고 혈액 순환을 방해해 허리 통증을 악화시킨다.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지만, 너무 오래 누워만 있으면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

장시간 잘못된 자세로 TV·스마트폰을 시청하면 목·허리 통증과 디스크 질환 위험이 높아져, 바른 자세와 틈틈이 스트레칭이 필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장시간 잘못된 자세로 TV·스마트폰을 시청하면 목·허리 통증과 디스크 질환 위험이 높아져, 바른 자세와 틈틈이 스트레칭이 필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근막통증증후군과 허리 디스크 위험


우리 몸 근육은 전체 체중의 약 40%를 차지하는 만큼, 장시간 부적절한 자세는 근육 손상을 초래하기 쉽다. 특히 어깨 주변 근육과 인대가 지속적으로 긴장하면 ‘근막통증증후군’이라는 통증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 유발점(트리거 포인트)을 누르면 깊은 통증과 타는 듯한 느낌이 퍼져 일상생활이 불편해진다.

허리도 마찬가지다. 척추 디스크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만, 구부정한 자세로 오래 있으면 디스크에 압력이 쌓여 빠르게 손상된다. 이 때문에 젊은 층에서도 허리 통증과 디스크 질환이 늘고 있다. 일시적 통증은 휴식으로 완화되기도 하지만, 증상이 반복되면 만성화돼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근막통증증후군은 엑스레이나 MRI 같은 검사로 확인하기 어려워 전문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연휴 동안 실천 가능한 목, 허리 건강 수칙 (사진 제공=바른세상병원)
연휴 동안 실천 가능한 목, 허리 건강 수칙 (사진 제공=바른세상병원)
◇거북목증후군, 스마트폰 사용자 주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고개가 점점 앞으로 숙여지는 ‘거북목증후군’ 위험이 커진다. 정상적인 C자형 목뼈가 일자형 또는 역C자로 변형돼 목과 어깨 근육에 지속적인 긴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어깨 통증, 두통은 물론 심할 경우 목 디스크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학선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장 원장은 “누워서 시청하는 자세는 목과 허리에 불필요한 부담을 준다”며 “앉을 때는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고 허리를 곧게 편 뒤, 화면을 눈높이에 맞추는 게 중요하다. 1시간마다 5~10분씩 일어나 목과 어깨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걷기를 하면 근육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