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제생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2018~2022)를 분석한 결과, 뇌혈관질환 환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 여성으로 나타났다. 2018년 7,152명이었던 30대 여성 환자는 2022년 9,363명으로 약 46% 증가했다. 20대 여성은 같은 기간 40.1%, 20대 남성은 29.9%, 30대 남성은 23.1% 늘었다.
특히 20~30대 여성에서 두드러진 증가세가 관찰됐는데, 이는 단순한 통계 이상으로 젊은 세대의 생활 습관과 건강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

김현곤 분당제생병원 신경외과 과장은 “고령자 비중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이제는 20~30대 젊은 환자도 진료실에서 자주 마주친다”며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운동 부족, 수면 부족 등으로 인해 혈관 건강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등 만성질환이 겹치면서 젊은 층에서도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발생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환자들이 증상이 나타난 뒤에야 병원을 찾는다.
뇌는 체중의 약 2%에 불과하지만, 전신 혈류의 20% 이상을 필요로 하는 고대사 기관이다. 혈류가 차단되거나 출혈이 발생하면 뇌세포는 빠르게 손상되고, 마비나 언어장애, 의식저하 같은 심각한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뇌졸중은 흔히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병’으로 설명된다. 대표적인 형태는 뇌경색과 뇌출혈이며, 갑작스럽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초기 대응이 늦어지기 쉽다. 두통, 팔다리 마비, 말이 어눌해지거나 의식이 혼미해지는 증상이 대표적이다.
김현곤 과장은 “뇌졸중은 전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더욱 무섭다”며 “한 번 발생하면 평생 장애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흡연은 혈관 내 혈전을 촉진하고 동맥경화를 악화시켜 뇌혈관질환의 핵심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이외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심방세동, 가족력 등도 주요 위험 요인이다.
이를 막기 위해선 건강한 식생활,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금연 등이 중요하며, 혈압·혈당 관리도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또한 갑작스럽게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