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귀는 단순히 소리를 듣는 기관이 아니다. 머리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해 우리 몸의 균형을 잡아준다. 스마트폰이 자이로 센서로 방향을 감지하듯, 귀 속 ‘이석’이라는 미세한 입자들이 몸의 기울기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한다. 이석은 수만 개 이상 존재하며, 머리가 움직일 때 몸의 방향 변화를 뇌에 전달한다.

문제는 이석 덩어리가 제자리에서 떨어져 ‘반고리관’이라는 귀 내부 구조로 들어가면서 시작된다. 반고리관은 몸의 회전과 움직임을 감지하는 부위인데, 이석이 들어가면 이상 신호가 생겨 심한 어지럼증과 함께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석증은 평생 약 6%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으로, 특히 50대 이상 여성에서 폐경 후 호르몬 변화와 골다공증으로 발병 위험이 커진다. 장기간 침상 생활도 위험 요인으로, 누워 있는 동안 이석이 중력에 의해 반고리관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석증은 귀 속 이석이 제자리에서 벗어나 어지럼증을 유발하며,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이석증은 귀 속 이석이 제자리에서 벗어나 어지럼증을 유발하며,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은 자연스럽게 빠지거나 녹을 수 있지만, 보통 한 달가량 증상이 지속돼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 진단 후에는 ‘이석치환술’이라는 물리치료가 권장된다. 이 치료는 귀 내부의 복잡한 구조를 따라 이석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한두 번으로 완치되기도 하지만 보통 며칠간 반복한다. 치료 후에도 남은 이석 때문에 어지럼증이 남을 수 있어, 진정제나 구토 억제제 등 증상 완화 약물을 병행한다.

이석증은 재발 위험이 크고, 어지럼증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면 다른 심각한 질환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이석은 수백 개의 작은 입자로 이뤄져 골밀도가 낮은 경우 쉽게 떨어져 재발할 수 있다. 이를 막으려면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규칙적인 야외 활동으로 햇빛을 쬐는 습관이 도움이 된다.

서재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이석증은 누구나 겪을 수 있지만, 증상이 갑자기 심해지거나 오래 지속되면 단순 이석증 외 다른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재발을 줄이기 위해 평소 골밀도 관리와 건강한 생활습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