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 하중이 반복되면 무릎을 보호하는 연골이 점차 닳기 시작하고, 결국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관절에 통증이 생기면 활동량이 줄고, 이로 인해 체중이 다시 늘며, 관절염이 더 빠르게 악화되는 악순환에 빠진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2년 자료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비만군은 정상 체중군보다 무릎 관절염 유병률이 약 1.8배 더 높았다. 특히 여성의 경우 차이가 더 크며,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비례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정훈 힘찬병원 정형외과 의무원장은 “체중이 불어나면 무릎 관절에 물리적 압력이 가해지는데, 비만 여성이 정상 체중의 여성에 비해 관절염 위험이 4배 높다”라며 “비만인 사람이 5kg 체중을 감량하면 관절염 증상이 50% 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라고 체중 조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과거에는 관절염과 비만의 연관성을 체중의 물리적 하중으로만 설명했지만, 최근에는 지방조직 자체가 관절에 해로운 물질을 분비한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2023년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된 연구는 50세 이상 국내 성인 110만 명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분석해, 비만과 무릎 관절염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밝혔다. 그 결과, 비만군은 무릎 관절염 위험이 일반인보다 1.28배 높았고, 복부비만까지 동반한 경우에는 그 위험이 1.41배까지 증가했다. 흥미로운 점은, 비만 상태를 개선한 사람의 경우 관절염 발생 위험이 10~11.6%까지 낮아졌다는 것이다.
또한 Clinical and Translational Medicin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지방세포에서는 염증 유발 물질인 아디포카인(adipokines)과 사이토카인(cytokines)이 분비된다. 이 물질들은 혈관을 통해 전신에 퍼지며 무릎 연골과 활액막에 염증을 일으키고, 조직을 손상시킨다. 결국 비만은 관절에 물리적 하중뿐 아니라, 전신 염증이라는 이중의 위협을 가하게 된다.

무릎 관절염을 막고 진행을 늦추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체중 감량이다. 무게가 줄어들면 무릎에 직접 가해지는 부담이 줄고, 동시에 염증을 일으키는 지방세포의 활성도 낮아져 관절 내부 환경이 개선된다.
관절염이 있다고 무조건 무릎을 쉬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관절을 보호하는 근육을 강화하는 방향이 중요하다. 근육이 약해지면 무릎이 받아야 할 하중이 늘고, 이는 연골 손상을 더 빠르게 만든다.
단, 격렬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수영이나 아쿠아로빅처럼 부력으로 관절 부담을 줄이는 운동, 실내 자전거처럼 앉아서 할 수 있는 운동이 적합하다. 이런 저충격 운동은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되며, 무릎 주변 근육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앉아 다리를 펴는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을 하루 10분 정도 꾸준히 해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운동은 일주일에 3~5회 정도로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정훈 힘찬병원 정형외과 의무원장은 “관절염 통증이 생긴 후 체중의 5~10% 감량만으로도 통증이 현저히 줄어들고 관절염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라며 “진료실을 찾는 관절염 환자들에게 적정한 체중 유지와 자신에게 맞는 운동 방법을 찾아서 꾸준히 규칙적으로 하고, 좋은 생활습관을 갖도록 강조한다”라고 말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