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긴 추석 연휴 동안 장시간 운전과 무거운 짐 나르기, 반복된 가사 노동은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운전 시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서 있을 때보다 약 1.4배 높고, 음식을 준비하거나 청소처럼 허리를 자주 숙이는 동작도 척추 주변 근육을 쉽게 지치게 한다. 평소 허리 통증이 있던 사람들은 연휴 후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증상을 단순한 피로로 치부하기 쉽지만, 이미 손상된 허리디스크가 악화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척추 사이 젤리 같은 디스크의 겉면이 손상되면 내부 수핵이 밀려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킨다.

추석 연휴 후 허리디스크 통증은 무리한 활동과 자세 불균형에서 비롯되므로, 적절한 휴식과 생활 습관 교정이 필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추석 연휴 후 허리디스크 통증은 무리한 활동과 자세 불균형에서 비롯되므로, 적절한 휴식과 생활 습관 교정이 필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허리디스크, 증상과 유형


젊은 층은 운동 중 갑작스럽게 허리를 비틀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면서 ‘급성 탈출형’ 디스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50~60대 이상은 노화로 인해 섬유륜이 약해지고 수핵이 서서히 밀려나오는 ‘퇴행성 돌출형’이 흔하다. 후자는 통증이 점차 나타나 만성 요통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은 “MRI에서 디스크 돌출이 보인다고 모두 치료가 필요한 건 아니다. 실제 증상과 신경 기능 변화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단순 근육통은 며칠 내 호전되지만, 다리 감각 저하나 힘 빠짐이 있다면 신경 압박이 진행 중일 수 있다. 배뇨 장애나 회음부 감각 저하가 동반되면 응급 상황이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허리디스크 관리와 치료법

통증이 가벼울 때는 생활 습관 교정이 최우선이다. 같은 자세로 오래 앉지 말고, 1시간마다 일어나 허리를 뒤로 젖히는 스트레칭을 해줘야 한다. 허리를 깊게 숙이는 자세는 피하고, 복부와 코어 근육 강화에 힘써 허리를 지지해야 한다. 과도한 체중도 디스크에 부담을 주므로 체중 관리도 필요하다.

통증이 심하거나 염증이 동반되면 약물, 물리치료, 국소 주사치료가 통증 완화에 도움된다. 국소 주사는 염증과 부종을 줄여 신경 자극을 완화한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신경 압박이 심하면, 최소 절개 수술로 돌출된 디스크를 제거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최근에는 부담을 줄인 비침습적 치료법도 늘고 있다.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
차 원장은 “연휴 동안 혹사당한 허리는 무리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통증이 심할 땐 2~3일 휴식하고, 이후 하루 20~30분 평지 걷기와 허리 스트레칭으로 회복을 돕는 게 좋다”며 “찬 곳에 오래 앉거나 장시간 뜨거운 찜질을 하는 건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