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근 잘못된 자세와 운동 부족, 고령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등으로 척추·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만성적인 어깨, 목, 허리 통증을 겪는 젊은층까지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통증에는 단순한 진통제나 주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홍승기 언양닥터홍마취통증의학과의원 원장은 “통증 치료의 핵심은 정확한 진단과 단계적인 접근”이라며 “문진부터 영상 진단, 신경차단술·도수치료 등 비수술적 처치, 운동치료 및 재활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과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수술은 최후의 선택일 뿐, 대부분의 통증은 비수술적 방식으로도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운동과 생활 습관 개선은 통증 재발 방지의 핵심이다. 홍 원장은 “주사나 약물로 통증이 줄더라도 잘못된 자세와 근육 상태가 유지된다면 통증은 반복된다”며 “운동치료는 단순한 재활이 아닌, 통증 치료의 완성 단계이자 삶의 질을 회복하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