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은 무릎 앞쪽에 위치한 작고 동그란 뼈로, 넓적다리뼈와 정강이뼈를 잇는 관절의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슬개골이 제자리를 벗어나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밀려나면 무릎이 어긋나며 통증이 발생한다. 이것이 바로 슬개골탈구다. 쉽게 말해, 슬개골탈구는 무릎뼈가 원래 자리인 활차구에서 빠져나가는 상태를 말한다.
슬개골탈구는 반려견에게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정형외과 질환이다. 특히 말티즈, 비숑과 같은 소형견에게 자주 보인다. 슬개골탈구 초기에는 간헐적 절뚝거림 정도로 증상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 연골이 손상되고 뼈의 변형으로 이어진다.

슬개골탈구는 정도에 따라 1기부터 4기까지로 구분된다. 1기는 평소에는 슬개골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지만 손으로 눌렀을 때 빠지며, 시간이 지나면 바로 제자리로 돌아온다. 2기는 간헐적으로 슬개골이 빠졌다 돌아오는 단계로, 절뚝거리는 증상이 보이기 시작한다. 3기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탈구된 상태로 물리적인 힘을 가했을 때만 정상적인 위치로 돌아간다. 4기는 슬개골이 완전히 탈구돼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 단계다. 이때는 다리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뼈의 변형이 진행된다.
슬개골탈구는 진행될수록 다리 근육이 위축되고, 오래 서 있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해진다. 반려묘도 예외는 아니다. 높은 곳에서 뛰어내린 뒤 다리를 절거나 움직임이 줄어들면 슬개골탈구를 의심해야 한다.
치료는 진행 단계에 따라 다르다. 초기 체중 관리와 근육 강화, 미끄럼 방지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2기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벗어난 슬개골을 제자리에 고정하고, 홈을 깊게 만들어 재발을 막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우에 따라 다리 뼈의 각도를 교정하는 절골술이 함께 시해되기도 한다.
슬개골탈구수술 후에는 절대적인 안정을 통해 무리하지 않게 일상으로 복귀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2~3주간은 산책을 제한하고, 점프나 계단 오르내리기를 금지해야 한다. 이후에는 재활 운동이나 물리치료, 스트레칭 등을 통해 근육을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슬개골탈구를 사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슬개골탈구는 완치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필수적이다. 미끄러운 마루나 타일 위에는 반드시 러그나 매트를 깔아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지 않도록 계단형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지금처럼 추운 날씨에는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관절이 굳지 않게 해야 한다.
슬개골탈구는 방치할 경우 평생의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려견이 다리를 들고 걷거나, 반려묘가 점프를 피한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조기 발견과 치료는 반려동물의 삶의 질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보호자의 꾸준한 관심과 예방이 결국 반려동물의 건강한 일상을 만들어 준다.
(글 : 최정태 김포 위브동물의료센터 원장)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