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노인복지관 건립부터 총괄보건소 지정까지… 통합 염원 담은 복지 중장기 전략 발표

시는 오늘 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완주군에 종합노인복지관을 신설하고 통합시 총괄 보건소를 완주군으로 지정하는 등 실질적인 복지 지원체계 확대 방안을 공개했다.
우선 전주시는 총 125억원을 투입해 완주군에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의 종합노인복지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해당 시설에는 강당, 프로그램실, 작은 도서관 등이 포함돼, 문화·여가·건강·일자리 등 다양한 노인 복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 공간으로 조성된다. 최종 부지는 지역 여건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선정될 예정이다.
또한 노인복지 예산의 연평균 증가율을 8% 이상으로 확대해 통합시 전체의 고령화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현재 전주시는 전체 인구 중 18.6%가, 완주군은 25%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집계돼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상태다.
보건의료 측면에서도 큰 변화가 예고된다. 완주군보건소를 통합시 총괄 보건소로 지정하고, 병원급 보건의료원 전환까지 검토해 의료 취약계층과 인구 증가에 대비할 계획이다. 이는 통합시 행정복합타운 조성 계획과도 연계되는 조치다.
에너지복지 차원에서는 완주지역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에 대한 배관 확대 및 LPG 배관망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경제성이 낮아 도시가스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는 상하수도 정비사업과 연계하거나 대체 에너지 방식으로 공급 불균형을 해소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전주시는 일부 지역에서 제기된 폐기물시설 이전 우려에 대해 "완주군민의 동의 없는 시설 이전은 없다"라는 입장을 명확히 하며 지역 간 신뢰 회복에도 나섰다. 현재 전주에서 추진 중인 소각장 및 매립장 사업은 기존 부지 내에서 이뤄지고 있어 완주로의 이전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박진상 전주시민협의회 위원장은 “통합은 시대의 요청이며, 함께 나아가야 할 길”이라며 시민과의 동행을 강조했다. 진교훈 복지환경국장도 “복지와 환경, 생활 인프라 중심의 실질적인 변화로 완주와 전주가 하나의 공동체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송소라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