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한림대학교의료원과 스마트도시협회가 지난 2일 서울 영등포구 스마트도시협회 회의실에서 ‘스마트병원과 도시 연계 모델’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림대의료원이 보유한 의료서비스 로봇 및 AI 운영 노하우를 도시 공간 설계에 반영하는 첫 시도로, 양 기관은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체계 개발과 스마트병원 경험을 바탕으로 도시 설계 가이드라인 고도화를 추진한다.

한림대의료원은 국내 의료기관 중 가장 많은 77대의 의료서비스 로봇을 운영하며, 6만 건 이상의 로봇 운행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데이터는 로봇과 사람, 업무 동선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중요한 자산이다.

또한, 한림대의료원은 서울, 안양, 화성, 춘천 등 4개 도시 5개 병원에서 지역사회 연계 시스템을 구축했다. AI 기반 비대면 뇌출혈 협진 플랫폼과 중환자 이송 체계 등 혁신 의료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양 기관은 앞으로 병원 내 로봇 운영 경험을 도시 공간 전략에 접목해 실증 기반 협력을 확대하고, 스마트시티 정책 세미나 및 정부 연구 과제에서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용선 한림대학교의료원 의료원장(오른쪽)과 황귀현 스마트도시협회 전무(왼쪽)가 7월 2일 스마트도시협회 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맺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림대학교의료원 제공)
김용선 한림대학교의료원 의료원장(오른쪽)과 황귀현 스마트도시협회 전무(왼쪽)가 7월 2일 스마트도시협회 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맺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림대학교의료원 제공)
김용선 의료원장은 “복잡한 병원 환경에서 축적한 로봇·AI 운영 경험을 통해 도시 공간 설계와 스마트빌딩 인증 체계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황귀현 스마트도시협회 전무는 “이번 협약이 로봇 활용 데이터를 도시 설계에 반영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도시 서비스 전반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양 기관은 오는 15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서 공동 발표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