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비즈플라자·원비즈e-MP·우리SAFE정산’ 중심의 디지털 혁신 강화

우리은행은 지난 10일 서울 중구 본점에서 개최한 ‘포용적 금융 플랫폼’ 설명회를 통해 원비즈플라자, 원비즈e-MP, 우리SAFE정산 등 기업금융 플랫폼 3종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매기업과 협력업체 모두에게 공급망 관리와 금융지원을 포함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진완 우리은행장은 인사말에서 “중소기업들은 공급망·결제망·금융지원 등 핵심 인프라를 자체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리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공급망 금융 플랫폼인 원비즈플라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배경”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플랫폼 안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제조업과 서비스업, 내수기업과 수출기업이 모두 상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2년 9월 출시된 ‘원비즈플라자’는 올해 6월 말 기준 회원사 수 7만8000여 곳을 돌파하며 기업 간 거래 환경의 디지털화를 주도하고 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공급망 관리 부담을 해소하고, 대기업 수준의 경영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해당 플랫폼은 견적·입찰, 단가계약, 발주, 검수 등 구매 프로세스를 무료로 제공하며, ERP 연동, 전자계약, 재고관리, 세금계산서 자동맵핑 등 실무 중심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공개입찰, 역경매, 다자간 계약 등 공급망 특화 기능과 함께 예산관리, 보증보험 원클릭 신청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 편의를 높이고 있다.
이 밖에도 생산 연계 탄소배출량 관리, ESG 지원, 140만 개 이상 기업정보 조회, MRO몰 연계 등의 경영지원 서비스가 포함돼 있으며, 중소기업 임직원 대상 복지 플랫폼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연내 원비즈플라자 회원사를 10만 개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한 우리은행은 지난 6월 16일부터 ‘원비즈e-MP’ 플랫폼 서비스를 정식 개시했다. 이 플랫폼은 구매기업과 판매기업 간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융지원, 미정산 대금 관리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자동화 방식으로 제공한다. 고객 부담 수수료가 없고 모바일 이용도 가능해, 판매기업의 업무 효율성과 금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다.
특히 대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은 중소기업은 이 플랫폼을 통해 담보 없이 ‘우리CUBE데이터론’을 이용할 수 있다. 우리은행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의 상생 업무협약을 통해 협력사에 금융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향후 기술보증기금과 협력해 특화상품도 확대할 예정이다.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도 우리은행은 정산 안정성 강화를 위한 ‘우리SAFE정산’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올해 1월 여행 플랫폼과의 협업을 시작으로, 6월 기준 누적 정산 실적은 4만 건을 넘어섰다. 해당 서비스는 PG사와 협력해 결제대금을 은행이 직접 관리하고, 수수료와 판매대금을 분리 지급해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판매사는 정산 대금 내역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투명한 정산이 가능하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 등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어려운 중소기업과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소상공인을 위해, 포용적 금융 플랫폼을 기반으로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하은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