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김은주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신간 『공부 감정의 힘』을 출간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학습 문제와 정서 조절 연구의 권위자로, 아이의 학업 성공은 머리나 환경보다 ‘감정’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책은 학습 부진의 원인을 단순한 공부법 문제로 보지 않고, ‘공부 감정’의 붕괴에서 찾는다. 머리가 뛰어나거나 환경이 좋아도 공부 감정이 무너지면 성취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실제 임상에서 만난 많은 아이가 불안과 압박으로 감정 소진 상태에 놓였고, 이는 ‘공부 상처’와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졌다.

또한 김 교수는 최근의 조기 경쟁 문화, 즉 ‘4세 고시’·‘7세 고시’ 등 과도한 선행학습과 사교육을 비판한다. 발달 속도와 기질을 무시한 학습은 아이의 불안을 키우고, 공부를 ‘고통’으로 인식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공부감정의힘 표지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
공부감정의힘 표지 (사진 제공=강남세브란스병원)
저자는 감정을 학습의 장애물이 아닌 안내자로 설명한다. 감정이 안정돼야 전두엽이 집중력·계획력·조절력 등 학습 핵심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검사를 통해 아이 기질별 맞춤 학습 전략을 제시하며, 감정 조절 능력이 곧 공부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책은 발달 단계별 양육법도 구체적으로 다룬다. 영유아기에는 안정된 애착, 초등 시기에는 자기조절력, 중·고등 시기에는 내재 동기를 키워야 한다고 조언한다. 디지털 미디어 사용, 시험 불안, 완벽주의, 조용한 ADHD 등 현대 아이들이 겪는 현실적 감정 문제에 대한 해법도 담았다.

김 교수는 “부모가 성적보다 감정을 먼저 살피면 아이는 스스로 공부할 힘을 얻는다. 조기 경쟁에 지친 아이에게 필요한 건 더 많은 학원이 아니라 감정 회복이다. 이번 신간이 학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