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형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2025년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포스터상을 받았다고 밝혔다.김 교수는 ‘정신과적 공존 질환 여부에 따른 ADHD 환자의 정량뇌파(qEEG) 차이’를 주제로 연구를 발표했다. ADHD 환자들은 불안장애, 우울증 등 다른 정신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지만, 공존 질환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이번 연구에서 ADHD 환자를 공존 질환 유무에 따라 나눈 뒤 뇌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존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전두엽 세타파와 델타파의 비대칭성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김수형 교수는 “정량뇌파가 공존 질환이 있는 ADHD 환자의 진단 보조 도구로 활
혹시 우리 아이가 학교나 학원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깊이 생각해 보고, 관찰해 본 적이 있는가? 지금 아이가 책상에 가만히 앉아 공부하지 못하고 서성거리거나, 공부나 일을 할 때 집중력이 떨어지고 실수를 자주 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봐야 한다.이처럼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주의력이 분산되고 산만한 상태를 ‘주의력 결핍’이라고 한다. 여기에 한발 더 나아가, 잠시도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거나 규율을 지키지 못하며, 남의 대화나 놀이에 쉽게 참견하거나 방해하는 모습을 보이는 아이를 ‘과잉행동 아동’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 증상은 보통 따로 나타나기보다 함께 나타나며, 이를 ADHD(주의력결핍 과
한때 ‘아이들만의 질환’으로 여겨졌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가 최근 성인 사이에서도 빠르게 늘고 있다. 단순한 성격이나 습관 문제로 치부되기 쉽지만, 성인 ADHD는 실제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 질환이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ADHD 진료 인원은 2020년 약 7만9000명에서 2024년 25만6000명으로 약 225% 증가했다. 특히 20대 이상 성인 환자 수는 같은 기간 2만4700명에서 12만3000명 이상으로 약 4배 늘었다.◇성인도 앓는 ADHD, 4년 새 4배 증가성인 ADHD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어릴 때 시작된 증상이 성인까지 지속되는 경우와, 성인이 돼 처음 나타나는 경우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이를 ‘산
[Physician's Column] By Lee Won-woo, Hae Arim Hanui Clinic, Daejeon-Sejong Branch“I thought he would grow out of it. I even assumed he simply lacked interest in studying,” said Kim, a 39-year-old mother from Sejong, reflecting with regret about her 10-year-old son. “But now they say his behavior indicates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with symptoms of vocal and motor tic disorders appearing together, I realize I’ve been too inattentive to him all this time.”The number of children seeking treatment for ADHD and tic disorders at specialized clinics and traditional Kor
“크면서 자연스럽게 괜찮아질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공부엔 크게 흥미가 없는거라고 생각도 했고요. 그런데 아이의 행동이 ADHD(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라고 하네요. 음성틱에 운동틱장애 증상까지 같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니, 아이에게 그동안 너무 무관심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10살 초등학생 아이를 키우고 있는 어머니 김모(39세,세종)씨는 후회를 하며 속마음을 털어놓았다.ADHD와 틱 치료를 위해 틱장애병원이나 한의원을 찾는 소아 환자들이 매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틱장애병원을 찾는 환자 중 20세 이상의 성인틱장애와 성인ADHD 환자 비율이 약 15%를 넘긴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제는 틱장애와 ADHD가 어린아이들만의
[Physician's Column] By Dae-uk Kim, Hae Arim Korean Medicine Clinic, Daegu BranchMany South Korean parents are surprised to learn that their child’s stubbornness or playful behavior may actually stem from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or co-occurring tic disorders. One parent reflected, "I thought my child was simply strong-willed and mischievous. I never realized ADHD could disrupt friendships, and discovering a tic disorder as well made me regret not noticing sooner." Tic disorders and ADHD are well-recognized conditions that often emerge in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환자들이 업무 중 집중력 저하와 실수, 일정 관리 어려움으로 일상에 큰 불편을 겪는 가운데, 생활 속 실천 가능한 루틴과 시간 관리 전략이 업무 효율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왔다.이지은 해아림한의원 일산파주점 원장은 “성인 ADHD는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거나 마감 기한을 지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하루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시각적으로 정돈된 환경을 만들며, 할 일을 구체적으로 나눠 계획하는 것이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핵심 전략으로는 기상·취침 시간을 고정한 아침 루틴 만들기, 작업을 세분화한 할 일 체크리스트 작성
뉴아인은 중국 의료 플랫폼 기업 Nurturing Med와 협력해 중국 하이난성 보아오 러청 국제의료시범구에서 ADHD·발달장애 치료기기 ‘스마일’을 정식 출시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이번 출시는 대한민국 의료기기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하이난에서 신속 승인을 받아 이뤄진 성과로, 첫 환자 등록도 성공적으로 마쳤다.지난 4월 Nurturing Med와의 협력 계약 체결 이후, 뉴아인은 중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보아오 러청은 중국 내 유일한 국제 의료관광 시범구로 특별 우대 정책을 받아, 중국 국가의약품감독관리국(NMPA)의 정식 승인 전에도 혁신적인 의료기기와 의약품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스마일
이지은 해아림한의원 일산파주점 원장은 “게임이나 유튜브처럼 좋아하는 일에는 쉽게 몰입하지만, 싫증 나는 일을 참고 해내는 능력이 진짜 집중력”이라며 “강렬한 자극 없이는 한곳에 집중하지 못하면 ADHD를 의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ADHD가 단순히 산만하거나 활발한 아이와 다른 점은 자기조절력에 있다. 이 원장은 “산만한 아이도 관심 있는 일엔 집중하지만, ADHD 아이는 좋아하는 활동에서도 오래 집중하기 어려우며, 숙제 도중 멍하니 있거나 부모·선생님의 지시를 듣지 못한다”고 말했다.특히 어른 ADHD 환자나 어린이 환자 모두 단순한 약물처방이 아닌 개별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 이 원장은 “한의학은 아이의 체질과 신체
평소 산만하고 집중력이 부족했던 아이는 아버지의 직장 문제로 이사를 하면서, 낯선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를 크게 받았다. 담임교사는 ADHD 검사를 권유했고, 부모는 눈 깜빡임 같은 이상 행동이 잦아지자 틱 증상까지 의심해 병원을 찾았다.이처럼 환경 변화나 정서적 자극 이후 틱, ADHD 등으로 병원을 찾는 소아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틱장애나 ADHD, 강박 장애 등은 조기 발견과 치료가 예후에 큰 차이를 만든다. 아이는 증상을 자각하거나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어, 부모나 교사 등 가까운 어른의 관찰이 필수적이다. 이 시기를 놓치면 증상이 고착되거나 다른 정신 질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틱은 빠르고 반복적인 운동이나 소리를
성인ADHD는 흔히 아이들의 문제로만 여겨지지만, 성인에게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장애다. 업무 집중이 어렵고, 단순한 일조차 지체하거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는 등 일상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대인관계에서 소통과 공감 능력이 부족해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장애를 겪으며, 이로 인해 우울증과 불안장애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이지은 해아림한의원 일산파주점 원장은 “성인 ADHD의 가장 큰 문제는 원활하지 않은 소통에서 발생하는 관계 맺기의 어려움”이라며 “자기 중심적인 대화 습관과 상대의 표정, 말투 등 비언어적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점이 오해와 소외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가운데, 단순한 산만함이나 충동성만으로 성급히 진단을 내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국내 ADHD 환자는 2017년 5만3000여 명에서 2021년 10만2000여 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이지은 해아림한의원 일산파주점 원장은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증상이 전두엽 발달 불균형과 관련돼 나타난다”며 “특히 만 7세 전후부터 전두엽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그 이전의 산만함은 정상 발달 과정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ADHD는 소아청소년기 가장 흔한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디지털 환경과 학
온라인 수업과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면서 ADHD를 겪는 아이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ADHD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7년 약 5만3000명에서 2021년 10만2000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실제로는 병원을 방문하지 않은 경우까지 고려하면 그 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ADHD는 단순히 산만하거나 말을 안 듣는 성향으로 오해되기 쉽지만,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기능 저하와 두뇌 발달의 불균형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외부 자극에 대한 집중을 오래 유지하기 어렵고, 부주의한 실수를 반복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를 방치하면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이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오늘(27일)부터 의료용 마약류 투약내역 확인 제도 적용 대상을 ADHD 치료제(성분명: 메틸페니데이트)로 확대한다고 밝혔다.이번 조치는 지난해 6월 펜타닐 제제(정제·패치형)에 대한 투약내역 확인을 의무화한 데 이어, 최근 처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ADHD 치료제까지 관리 범위를 넓히기 위한 것이다. 펜타닐의 경우 투약내역 확인제도 시행 이후 처방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4%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난 바 있다.ADHD 치료제의 경우 병·의원 수, 처방의 수요, 의사 수 등이 많은 점을 고려해 의료계와의 협의를 거쳐 이번에는 ‘권고사항’으로 우선 시행된다.의사 및 치과의사는 의료기관
요즘 들어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이 늘어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ADHD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 수가 2017년엔 약 5.3만 명이었는데, 2021년엔 약 10.2만 명으로 92.9%나 늘어났다고 한다. 그런데 실제로 ADHD 증상을 보이지만 병원에 가지 않은 어린이들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다.소아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말한다. 주의력결핍과 집중력 저하, 충동적이고 과잉된 행동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학습장애, 품행장애 등으로 발전하여 정상적인 사회화 과정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성인ADHD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처가 필요하다.ADHD의 증상과 원인
틱장애는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 소리를 내거나 근육을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증상으로, 음성 틱과 운동 틱으로 나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약 7.9만 명이던 틱장애 환자는 2021년 약 9.4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ADHD 환자도 같은 기간 92.9% 증가했다. 병원을 찾지 않은 사례까지 포함하면 실제 증상자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틱장애와 ADHD는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서로 증상에 영향을 주며 악화되기도 해 종합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틱 증상은 보통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입학 시기에 시작되며, 눈 깜빡임, 얼굴 찡그림, 어깨 들썩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갑작스럽고 반복
전자약과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개발 전문 기업 뉴아인(Nu Eyne)이 최근 1000만 달러 규모의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 시장에서 중요한 도약을 이뤘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뉴아인의 혁신적인 전자약 기술과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간 전략적 협력의 결실로,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 확장과 사업 가속화를 기대하고 있다.ADHD는 세계적으로 약 6000만 명이 영향을 받는 신경정신질환으로, 특히 중국 내 환자 수가 약 23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ADHD 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12% 이상 성장 중이며, 오는 2027년까지 약 5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치료가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주의력 부족, 과잉행동, 충동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로, 아동의 학업, 사회성, 가정 내 상호작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ADHD의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신경생리학적 요인이 있으며, 신경전달물질의 결핍도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지은 해아림한의원 일산점 원장은 "ADHD 아동은 대개 뇌의 전두엽과 기저핵이 발달이 지연되며, 이로 인해 충동 조절이 어렵고 집중력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ADHD는 산만함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행동으로 진단된다"고 말했다.ADHD는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의 면담과 행동 관찰, 다양한 설문지를 통한 임상적 평가를
최근 학원가와 수험생들 사이에서 ADHD(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제가 ‘집중력 향상 약’ 또는 ‘두뇌 강화제’로 잘못 알려지면서 비의료적 용도로 사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약물의 오남용이 두통, 수면 장애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ADHD 약물 처방 환자 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2020년 14만3000명에서 2024년 32만6000명으로, 처방 건수는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약물의 사용량 또한 2020년 3770만9000정에서 2024년 8201만2000정으로 급증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방송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ADHD 약물의 효과에 대한 오해가
“그저 아이가 고집이 세고, 장난꾸러기라 여겼는데,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때문이라니. 교우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게다가 틱장애 증세가 동반돼 나타났다고 하니 아이에게 무심했던 제게 너무 화가 납니다”틱장애와 ADHD 증상은 유아들 뿐 아니라, 초등학생 시기 어린이들에게 많이 나타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이처럼 아이의 학교생활과 행동에 대해 듣고 놀라서 병원을 찾아 검사와 진료를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틱장애와 ADHD 증상을 만들어내는 원인을 찾고,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한다면, 완치가 불가능하지는 않다.틱장애는 본인의 의도와 관계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