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환자의 수축기혈압이 높아질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졌고, 특히 수축기혈압이 180 mmHg 이상일 때는 정상 혈압을 가진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1.2배 더 높아졌다.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정상 혈압을 가진 환자보다 수축기혈압이 160-180 mmHg일 때 1.12배, 180 mmHg 이상일 때 1.29배 더 높아졌다.
또한, 혈당 관리의 중요한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6.5-7.5%인 환자보다 8.5-9.5%인 환자는 사망 위험이 1.26배, 9.5% 이상인 환자는 1.56배 높아졌다.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당화혈색소가 6.5-7.5%인 환자보다 8.5-9.5%인 환자는 1.46배, 9.5% 이상인 환자는 1.47배 높아졌다.
*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평가하는 지표, 정상 범위 4.0~6.0%
국내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과 혈당 상태를 살펴본 결과, 혈압이나 혈당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환자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2020년 국내 혈액투석 환자 70,780명 중 수축기혈압이 140 mmHg 이상인 환자는 63.9%였으며,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혈압 구간인 수축기혈압 160 mmHg 이상인 환자는 21.7%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당뇨병이 있는 혈액투석 환자 24,245명 중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환자는 49.0%였으며,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당화혈색소가 7.5% 이상인 경우는 25.6%였다.
PACEN의 임상적 가치평가 결과,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과 혈당을 잘 관리하는 것이 사망률을 낮추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전문가들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혈압과 혈당 관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의료진의 관심과 환자의 노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PACEN 허대석 사업단장은 “이번 연구결과가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 및 혈당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켜, 혈액투석 환자의 사망률 개선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