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장기재생 플랫폼 기업 로킷헬스케어 자회사 로킷제노믹스가 지난 27일 서울대 암연구소에서 열린 ‘2025 유전체 미래기술 심포지엄’에 참가해 정밀 유전체 분석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국내외 유전체 연구진과 의료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로킷제노믹스는 현장에서 플랫폼을 소개하며 연구자, 의료진과 활발히 소통했다.양승철 사업개발팀 박사는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실전 가이드’를 주제로 조직 맞춤 샘플 준비, 분석 목적별 어플리케이션 선택, 효율적 분석 플랫폼 구축 전략 등을 공유해 호응을 얻었다.로킷제노믹스는 단일세포 전사체(scRNA), 공간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가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와 손잡고 AI 기반 유전체 분석 사업 확대에 나선다.엔젠바이오는 지난 18일,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AI 기반 유전체 분석 소프트웨어(NGS 분석 SW)와 전장엑솜시퀀싱(WES) 기술을 결합해 국내 주요 대형병원 대상 공동 마케팅 및 제품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엔젠바이오는 국내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분야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30곳 이상의 국내 의료기관에 진단 패널과 분석 소프트웨어를 공급 중이다. 애질런트는 미국 NYSE 상장 기업으로, MD앤더슨 암
CG인바이츠가 20일, 자사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검사(NGS) 및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임상검사 부문에서 미국 병리학회(CAP,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CAP는 1961년에 설립된 병리학계 세계적 규모의 학회이자, 권위 있는 임상검사실 인증 기관으로, CAP 인증은 임상검사의 국제적 기준과 표준을 대표하는 인증이다. CG인바이츠는 이번 인증을 통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검사 및 마이크로어레이 임상검사 프로세스의 글로벌 수준을 입증했으며, 비의료기관으로는 국내 유일하게 CAP 인증을 받은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CAP 인증은 검사 실적, 관리, 기록, 임직원들의 업무 처리 수준, 시설 및 장비, 안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필리핀의 제약사 인듀어 메디컬(Endure Medical, Inc.)과 유전체 분석 서비스 '지놈체크'의 필리핀 시장 제공을 위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인듀어 메디컬은 멸균제형을 전문으로 하는 필리핀 제약회사 그룹 파마웰스 그룹의 자회사로 2002년 설립 이후 필리핀과 아시아, 유럽, 미국에 걸친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종양(Oncology), 심장(Cardiology), 호흡기(Pulmonary) 등 다양한 분야에서 500개 이상의 제형을 자랑하는 인듀어 메디컬은 뛰어난 제품 포트폴리오를 인정받고 있다.디엑스앤브이엑스는 인듀어 메디컬과의 계약 체결을 통해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물론 체외진단·디지털 헬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편성범)은 지난 7월 9일(화) 카카오엔터프라이즈(대표 이경진)와 유전체 분석 연구 및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유전체 분석 연구 및 클라우드 활용 협력을 위해 진행됐으며, 협약식에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편성범 학장과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이경진 대표이사를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의료 빅데이터의 핵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유전체(Genome) 데이터는 방대한 양에 더해 염기 서열 분석, 변이 식별 등 복잡한 연구 계산이 필요하다.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고대의대에 카카오클라우드 기반 유전체 연구・분석 환경 구성, 카카오클라우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고요산혈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 요인을 발견하고, 해당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Nature Communications, IF=16.6)에 발표하였다.* 유전요인: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정보 중 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원홍희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로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과 유럽인 등 약 103만명 *유전체정보를 분석하여 발표한 것이다.* 유럽인 68만 명, 동아시아인 22만 명, 기타 13만 명 등고요산혈증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이 많은 식품(육류, 어류, 맥주 등)을과다하게 섭취하면 체내에 요산이 축적되어 ...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몽골 대형 병원 파트너사 Regenerative Cell Center LLC(이하 “RCC”)와 유전체 분석 서비스 ‘지놈체크’의 몽골 시장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RCC는 몽골 난임, 생식클리닉센터 RMC IVF(In Vitro Fertilization) Center의 파트너사로 NIPT(비침습적 산전 검사), PGT(착상전 유전자 검사) 등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제공과 현지 마케팅을 제공하는 바이오메디컬 기업이다. 파트너사인 몽골 난임센터는 불임환자를 전문으로 하는 현지 병원으로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자국내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몽골은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이 늘어나는 추세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 관리를 위한 유전체...
GC지놈(대표 기창석)이 중동 및 아시아 지역 6개 업체와 7건의 진단검사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GC지놈은 지난 2월 세계 최대 규모 바이오 분야 전시회 ‘메드랩(MED LAB)’에 참석해, 주요 분자 진단 기업 및 의료 관계자들과 진단 유전체 분석 서비스 협력을 긴밀히 논의했다. 그 결과, 중동지역의 요르단 1개사, 사우디아라비아 3개사, 오만 1개사와 아시아 지역의 파키스탄 1개사까지 총 6개처와 계약을 체결했다.GC지놈의 ‘그린플랜 고형암 검사(고형암 환자의 유전적 진단 및 치료 예측검사)’와 ‘아이캔서치 검사(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 등 신규 제품에 대한 호평으로 기존 고객사를 포함한 중...
교모세포종 암 단백 유전체 분석을 통해 뇌종양 재발 진화과정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 방안을 제시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보학교실 사경하 교수 연구팀과 국립암센터 박종배 교수 연구팀은 악성 뇌종양 중 하나인 교모세포종의 암 단백 유전체 분석을 통해 뇌종양 재발 진화과정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법을 고안해 냈다.교모세포종은 치료 방안이 제한적인 악성 뇌종양 중 하나로, 다양한 유전적 변이가 있으며 뇌 신경세포와 유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초기 치료 후 재발의 빈도가 매우 높으며, 재발 암의 대부분은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에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연구팀은 교모...
엔젠바이오(대표이사 최대출)는 자사의 암유전체 자동분석 소프트웨어인 엔젠어날리시스(NGeneAnalySys, NGAS) 온프레미스(On-premise)형 솔루션의 글로벌 출시를 발표하고 AI기반 맞춤형 질병 솔루션 사업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1일 알렸다.NGAS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유전체의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자동 분석하고 진단 결과와 임상 보고서를 한번에 제공하는 질병 유전체 자동분석 소프트웨어다. 고형암, 혈액암 진단패널을 통해 NGS 장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한다. 해당 질병과 관련된 유전변이를 검출 및 해석하고 최적의 표적치료제 정보를 추천하기 때문에 이미 국내외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암 정밀진단 및 표적항...
호르몬수용체 양성(HR+)/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음성(HER2-) 유방암은 비교적 예후가 좋고 호르몬 억제 치료로 양호한 효과를 보인다. 다만 공격적인 유형의 재발·전이성 유방암에서는 호르몬 저항성이 문제가 되어 왔는데, 최근 이 같은 내성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았다.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연희 교수·삼성유전체연구소 박경희 연구원,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석아·이경훈 교수, 화이자 정옌 칸(Zhengyan Kan) 박사 공동 연구팀은 재발·전이성 유방암에 쓰이는 표적항암제 ‘팔보시클립’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징을 유전체 분석으로 밝혀 ‘게놈 메디신(Genome Medicine, IF=15.266)’ 최근호에 발표했다.팔보...
고(故) 이건희 회장 기부금으로 운영 중인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은 5월부터 전국의 소아청소년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정 및 예후 예측에 필요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유전체 검사’를 무상 지원해 정밀의료를 시작했다고 31일 밝혔다.이 유전체분석 검사를 통해 소아청소년 백혈병 환자는 예후 및 초기 치료 반응에 따라 치료 전략을 수립해 항암제의 독성을 최소화하며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정밀의료를 받게 될 전망이다.소아청소년 암은 국내에서 연간 약 1,000~1,200명 발생한다. 이중 약 30%가 급성백혈병 환자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소아청소년 암은 소아기의 가장 흔한 사망 원인으로 꼽히지만 최근에는 유전체...
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이 ‘제58회 발명의 날’을 기념해 유전체 분석기술 40년의 역사와 마크로젠의 혁신과 성과에 대해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유전체 분석기술은 인간의 유전체를 분석해 유전 병리학적인 정보를 얻는 기술로, ‘무병장수 100세 시대’를 바라보고 있는 지금, 암 정복을 비롯해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 질병 예측, 맞춤 신약 개발 등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1977년 영국의 유전학자 프레드릭 생어(Frederick Sanger)가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를 이용해 적은 양의 DNA를 복제하고 이를 활용해 DNA 염기서열을 알아내는 방법인 생어 염기서열 분석(Sanger sequenc...
지놈인사이트가 전장유전체분석(WGS·Whole Genome Sequencing) 기반 암 정밀진단 서비스인 ‘캔서비전(CancerVision)’을 미국에서 정식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지놈인사이트가 개발해 미국 시장에 출시한 WGS 기반 암 정밀진단 플랫폼인 캔서비전은 암 조직의 WGS 분석을 통해 실제 암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암 돌연변이 전체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진단 서비스다.이날 캔서비전을 출시한 지놈인사이트는 최근 샌디에이고에 개설한 미국 법인을 중심으로 미국 유전체진단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지놈인사이트의 창업자이자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주영석 박사는 “현재 미국 주요 의료 센터의 의사들...
국내 연구진이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해 두경부암 발생기전을 밝혔다.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철호 교수(장전엽 교수·이복순 연구교수)와 생리학교실 우현구 교수(최지혜 연구교수) 연구팀은 최근 세계 최초로 두경부암의 진행 단계별 단일세포 유전체 프로파일링 분석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두경부암의 새로운 발생기전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연구팀이 이번에 활용한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은 기존의 유전체 분석법과 달리, 세포 단위의 유전체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수준의 변화와 세포 간 상호작용을 밝힐 수 있는 최신의 기술로,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두경부암은 정상조직에서 전암성병변(백반증 등), 원발...
지니너스가 지난 13일 신약개발을 위한 유전체분석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을 주최한 지니너스는 오믹스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개발 플랫폼인 ‘Drug GPS’를 새롭게 소개했다. 자체 보유한 오믹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바이오마커 발굴뿐만 아니라 약물 반응 분석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이번 행사에서는 지니너스와 ‘10x Genomics’의 MOU 체결도 함께 이루어졌다. 양사는 차세대 정밀 의료를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싱글셀 분석부터 신약 개발까지 이르는 폭 넓은 협력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10x Genomics’ CEO인 서지 삭소노브(Serge Saxonov)는 싱...
마크로젠(대표 김창훈, 이수강)이 시퀀싱 솔루션 업체 팩바이오(Pacific Biosciences of California, Inc., PacBio)의 최신 롱리드(Long read) 시퀀싱 시스템 론칭 파트너로 참여한다고 28일 밝혔다.팩바이오는 26일, 데이터 처리량을 15배 늘려 연간 최대 1,300명의 전장유전체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롱리드 시퀀싱 시스템 ‘RevioTM’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팩바이오 Revio의 글로벌 론칭 파트너는 마크로젠, 브로드 연구소(Broad institute) 등 이다.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지금 우리는 이전에 진단되지 않은 많은 질병들이 특정 구조적 변이의 존재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가고 있다. 이처럼 종전에는 볼 수 없었던 복잡한 ...
연세의료원이 최근 임상유전체 분석 기술기업 ㈜디시젠에 전립선암 유전체 분석 및 예후 예측 기술을 이전하고 공동연구 개발 협약을 맺었다.이전 기술은 연세암병원 비뇨의학과 최영득, 한현호 교수와 연세대 의대 병리학교실 조남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휴스턴 MD 앤더슨 암센터와 공동개발한 전립선암 분자생물학적 아형 분류 및 예후 예측 특허 기술로, 기술료는 총 5억 3천만 원이다.이번 협약으로 연세의료원 산학협력단은 ㈜디시젠에 기술을 이전하고 공동연구를 통해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전립선암 분자진단의료기기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NSG 기반 전립선암 분자진단의료기기는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예후 및...
쓰리빌리언이 전장 유전체분석을 통한 희귀질환 검사를 주제로하는 임상의 대상의 웨비나, ‘이제 쓰리빌리언으로’를 7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쓰리빌리언은 지난 6월, 전장 유전체 분석(WGS) 기반의 희귀질환 검사, ‘3B-GENOME’을 새롭게 런칭했다. 회사 측은 기존 전장 엑솜 분석(WES) 기반의 쓰리빌리언 서비스 ‘3B-EXOME’이 유전체의 2%를 차지하는 엑솜 영역을 읽어 분석하는 것에 비해 WGS 기반 검사는 유전체의 전체 영역을 읽어 WES 검사로 진단이 어려운 유전 변이까지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번 웨비나에서는 세 명의 쓰리빌리언 연자들이 WGS 검사 기술과 진단 사례들을 소개한다.전 아산병원 소아과 전문의 서고훈 CMO...
지아이비타(GIVITA, 대표 이길연)는 디엑스앤브이엑스(Dx&Vx, 대표 박상태)와 건강관리 서비스 발굴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과 사업적 인프라를 공유함으로써 △라이프로그-유전체 분석 데이터 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공동연구 개발 △초개인화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방침이다. 지아이비타는 걸음, 수면, 체성분 등의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 및 자체 R&D를 통해 AI 기반 라이프로그 분석 시스템 개발을 담당하고,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임상 유전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협력병원과 함께 사용자에게 유전체 검사 키트(KIT)와 분석 리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