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10:56
전립선암은 이제 우리나라 남성에게도 낯선 병이 아니다. 과거에는 서양인에게 흔한 암으로 알려졌지만, 식습관의 서구화와 고령화로 인해 국내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50세 이후 남성에게서 그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통계에 따르면 남성 암 발생률 상위권에 오를 정도로 흔한 질환이 됐다.문제는 전립선암이 초기에 거의 증상이 없다는 점이다.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상은 전립선비대증에서도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순한 노화로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증상 뒤에는 암이 숨어 있을 수도 있다.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뒤에야 발견되면 치료가 복잡해지고, 생존율도2025.03.14 10:30
전립선비대증은 중년 이후 남성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립선이 비대해지면서 배뇨 장애를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질환의 진단과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바로 PSA(Prostate-Specific Antigen) 수치다. PSA 수치는 전립선암의 선별 검사로 주로 사용되지만,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도 증가할 수 있어 이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PSA 수치는 전립선의 상태를 반영하는 혈액 검사 수치로, 정상 범위는 일반적으로 4.0 이하로 간주된다. 하지만 전립선비대증이 진행되면 전립선 조직이 커지면서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PSA 수치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암을 의심하기보다는, 정기적인2024.08.07 12:01
전립선암은 세계적으로 남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2023년 사이 전립선암 환자는 39.6%가 늘어 전체 암 중에서도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전립선암뿐만 아니라, 전립선비대증 또한 10년간 30%가 넘게 발병률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그런데, 가파르게 환자가 치솟고 있는 전립선암은 사실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PSA검사란 전립선의 상피세포에서 합성되는 단백분해 효소로 전립선 이외의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아 전립선암의 선별에 이용되는 유용한 종양표지자이다. 일반적으로 체혈을 통해 검체가 가능하며, 채혈 전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