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참여형 체험 실습부터 AI리터러시 교육까지 정례 운영 추진

이번 간담회는 양 기관이 7월 14일 체결한 업무협약(MOU)을 바탕으로, ‘AI 체험 현장실습’ 시범사업의 결과를 점검하고, 공동 협력의 다음 단계를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모든 시민이 AI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공공 중심의 교육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서울AI재단의 디지털 인프라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생학습 체계를 결합한 AI 문해교육 콘텐츠 기획·운영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협력 내용은 기초 AI 문해교육 자료 공동 개발, 전문 인력풀 공유, AI동행버스·교육시설을 활용한 현장 체험형 프로그램 운영, 디지털 나눔 캠페인 및 사회공헌 활동이다. 또한 정보 문해 교과서 개편 과정에 기초 AI문해력 내용 반영을 검토하며, 교육 현장 활용까지 협력을 확장해나갈 예정이다.
양 기관은 협약 이행의 첫 단계로 7월 15일 ‘2025년 디지털 문해교육 AI체험 현장실습’ 시범사업을 운영했다. 해당 실습은 서울AI재단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전국 문해교육기관 소속 학습자 및 인솔교사 약 80여 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AI마음친구, 스마트 글래스, 인공지능 로봇, 스마트서울뷰, AI라이프혁신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직접 체험하며 생활 속 활용 가능성을 탐색했다.
특히 단순 견학을 넘어 자발적 참여와 실천 중심 체험을 지향했으며, 실습 후에는 ‘처음 만난 AI, 나의 느낌은?’ 활동을 통해 참가자들이 직접 경험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공유 간담회에서는 체험학습 자료 운영 방안, 문해학습자 맞춤형 활동지 개발, 평생교육사 대상 AI리터러시 연수 프로그램 마련 등 후속 실행 계획도 함께 논의됐다.
김만기 서울AI재단 이사장은 “시민 모두가 즐겁고 편리하게 AI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AI 기반 교육사업과 혁신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명선 하이뉴스(Hinews) 교육·정책팀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