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심장초음파 검사가 단순 진단을 넘어 심부전 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사민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심부전 환자 406명을 대상으로 심장초음파 검사 지표와 삶의 질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기 기능이 향상될수록 환자의 신체적·사회적 제한이 줄고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하버드 의대 부속 브리검 여성병원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좌심실 박출률 40% 이하의 심부전 환자에게 24주간 약물치료(사쿠비트릴/발사르탄 또는 에날라프릴)를 시행하고, 치료 전후 심장초음파와 삶의 질 점수를 측정했다. 삶의 질은 ‘캔자스시티 심근병증 설문지(KCCQ-12)’를 사용해 증상 빈도, 신체활동, 사회적 제한, 삶의 만족도 등을 평가했다.

이완기 기능을 나타내는 승모판륜 속도(e’)가 증가할수록 신체활동 제한은 2.42.7점, 사회적 제한은 3.43.6점, 삶의 만족도는 2.3~2.4점 개선됐다.

또한 이완 압력을 반영하는 중격 E/e’ 비율이 낮아질수록 신체활동 제한 2.8점, 사회적 제한 3.1점, 삶의 만족도 3.3점 상승했다.

반면, 심장 수축 기능이나 우심실 기능과 같은 다른 초음파 지표는 삶의 질 변화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사민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가 심부전 환자를 심장초음파로 검사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이사민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가 심부전 환자를 심장초음파로 검사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이사민 교수는 “심장초음파가 환자의 주관적인 삶의 질까지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도구임을 확인한 연구”라며, “앞으로도 정밀영상 기반 진단을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맞춤 치료전략 개발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은 연간 7만 건 이상의 고해상도 3D 심장초음파를 시행하며, 정확한 정량 분석과 임상 진료를 연계해 심장질환 진단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