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민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심부전 환자 406명을 대상으로 심장초음파 검사 지표와 삶의 질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기 기능이 향상될수록 환자의 신체적·사회적 제한이 줄고 삶의 만족도도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하버드 의대 부속 브리검 여성병원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좌심실 박출률 40% 이하의 심부전 환자에게 24주간 약물치료(사쿠비트릴/발사르탄 또는 에날라프릴)를 시행하고, 치료 전후 심장초음파와 삶의 질 점수를 측정했다. 삶의 질은 ‘캔자스시티 심근병증 설문지(KCCQ-12)’를 사용해 증상 빈도, 신체활동, 사회적 제한, 삶의 만족도 등을 평가했다.
이완기 기능을 나타내는 승모판륜 속도(e’)가 증가할수록 신체활동 제한은 2.42.7점, 사회적 제한은 3.43.6점, 삶의 만족도는 2.3~2.4점 개선됐다.
또한 이완 압력을 반영하는 중격 E/e’ 비율이 낮아질수록 신체활동 제한 2.8점, 사회적 제한 3.1점, 삶의 만족도 3.3점 상승했다.
반면, 심장 수축 기능이나 우심실 기능과 같은 다른 초음파 지표는 삶의 질 변화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은 연간 7만 건 이상의 고해상도 3D 심장초음파를 시행하며, 정확한 정량 분석과 임상 진료를 연계해 심장질환 진단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