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경변증 환자의 48~70%는 B형 간염이, 10~15%는 C형 간염이 원인이다. 음주와 기타 질환도 원인이지만, 최근에는 비만과 대사 이상으로 인한 지방간 질환이 크게 늘고 있다. 유정주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바이러스 간염 환자가 줄면서 앞으로는 생활 습관 질환이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간경변증은 초기 증상이 모호해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 피로, 식욕 저하, 소화 불량 같은 흔한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병이 진행되면 황달, 손바닥 발적, 거미혈관, 여성형 유방, 생리 불순 등 특징적인 신체 변화가 나타난다. 복부 팽만이나 토혈, 의식 장애가 생기면 즉시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더 큰 문제는 간경변증 환자의 약 3분의 1이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간암 환자의 80% 이상이 간경변증을 배경질환으로 갖고 있다. 합병증인 복수, 부종, 위·식도 정맥류 출혈, 간성 뇌증 등이 나타나면 환자의 상태는 급격히 악화된다.

간경변증 진단은 초음파, CT, MRI, 간 섬유화 검사, 혈액검사 등으로 이뤄진다. 치료는 원인 질환을 철저히 관리하는 게 핵심이다. B·C형 간염 환자는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고 반드시 금주해야 한다. 비만과 당뇨 같은 대사질환도 체중 조절, 식습관 개선, 꾸준한 운동으로 관리해야 한다. 심한 합병증이 생기면 간이식도 고려해야 한다.
유정주 교수는 “간경변증 고위험군은 증상이 없어도 반드시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며 “꾸준한 검진과 올바른 생활 습관이 간경변증과 간암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