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인공지능(AI) 기업 제이엘케이(322510)가 세계적 학술대회 ‘MICCAI 2025’에서 뇌졸중 치료를 위한 AI 기반 워크플로우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최근 정부가 뇌졸중 등 중증질환 대응 체계 강화에 나선 가운데, AI 기술을 활용한 현실적 대안을 제시해 주목받았다.제이엘케이는 이번 발표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뇌 MRI 기반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AI 소프트웨어 성과를 공유했다. 발표를 맡은 류위선 CMO는 "AI를 활용한 진단·치료 간소화는 의료 현장의 병목을 해소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격차를 줄일 수 있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했다.이 회사의 AI 솔루션은 뇌경색, 뇌출혈, 대혈관 폐색 등 주요 뇌졸중 질환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가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리는 ‘바이오재팬 2025’에 참가해 주요 항암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기술이전과 공동개발 기회를 모색한다고 밝혔다.아시아 바이오 전시회인 바이오재팬은 글로벌 제약사, 연구기관, 투자사 간 파트너링 미팅과 기술 협력을 지원하는 자리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미국 바이오 컨설팅사 카이로스 바이오컨설팅과 함께 공동 부스를 운영한다.이번 참가의 핵심은 차세대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 ‘PHI-101’의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다. PHI-101은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자체 AI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를 활용해 개발됐으며, 다양한 FLT3 돌연
대한항공은 지난 1일 서울 강서구 본사와 인천 계양체육관에서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2025 후반기 교관회의 겸 통합 워크숍’을 열었다.이번 행사는 양사의 통합 출범을 앞두고 안전 운항의 핵심인 운항훈련 정책 발전과 비행교육 체계 표준화를 논의하고, 교관 간 화합과 결속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조종사의 운항 실습을 지도하는 LIP(Line Instructor Pilot), 지상훈련을 담당하는 학술 교관, 승무원 인적 요인 교육을 맡은 CRM(Crew Resource Management) 교관, 항공기 시스템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 교관 등 양사 교관 150여 명이 참석했다.오전 본사 대강당에서 열린 교관회의는 김해룡 대한항공 운항본부장의 인사말로 시작됐
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지(Global Finance)’가 주관한 ‘2025 글로벌 파이낸스 트랜잭션 뱅킹 어워즈(Global Finance Transaction Banking Awards 2025)’에서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Best Sub-Custodian Bank in Korea 2025)’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 시상식은 지난달 30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렸으며, 하나은행은 서비스 품질, 수수료 경쟁력, 시장의 다양한 니즈 충족 능력, 손님 만족도 등 주요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하나은행은 올해 3월 전사적 협력으로 수탁 업무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완료하며, 수기 업무를 크게 줄이고 운영 효율성을 강화했다. 또한 처리 용량을
셀트리온이 오는 4일부터 7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5 유럽장질환학회(UEGW)’에 참가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CT-P13 SC(램시마SC)’의 장기 임상 데이터를 공개한다고 밝혔다.UEGW는 유럽 최대 규모의 소화기 질환 학회로, 전 세계 의료진과 제약사가 모여 염증성 장질환(IBD)과 관련된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셀트리온은 이번 학회에서 메인 전시 부스를 운영하고, 전문가 세션 2건과 심포지엄을 통해 램시마의 정맥주사(IV)와 피하주사(SC) 제형 관련 리얼월드 데이터를 중심으로 임상 결과를 발표한다.특히 학회 마지막 날에는 램시마SC의 2년 유지 치료 글로벌 3상 임상 사후분석 결과를 포스터와 구두 발표로 소개
넷마블은 자사 야구 게임 ‘마구마구 2025 모바일’에서 포스트시즌을 기념해 대규모 보상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오늘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오는 30일까지 이어진다.이용자들은 인게임 미션을 수행해 보상을 획득하는 ‘시즌 미션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10일차 최종 보상으로는 최초로 인게임 최상위 등급 선수카드인 ‘유니크&루키 10강 구단선택팩’이 지급된다.또한 총 17단계의 미션을 완수하면 17강 선수를 획득할 수 있는 ‘강화 선수 획득 미션 이벤트’, 일일·주간 미션 수행으로 모은 재료를 교환할 수 있는 ‘전력보강재료 수집 이벤트’도 동시에 열린다. 이를 통해 레전드 프랜차이즈 17강, 레전드 40 17강, 레전드 17강,
현대자동차그룹이 한국 양궁의 지속적인 발전과 대중화를 위해 국내 최고 권위의 양궁대회를 4회째 후원한다.현대차그룹은 대한양궁협회 주최로 1일부터 3일까지 광주광역시에서 열리는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한국양궁대회 2025’를 공식 후원한다고 오늘 밝혔다. 이 대회는 2016년 창설 이래 선수들의 경기력 강화를 지원하고 한국 양궁 저변 확대에 기여해 왔다.올해 대회는 ‘위대한 양궁의 순간’을 주제로, 한국 양궁의 역사와 성과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대회는 지난달 ‘2025 현대 세계양궁선수권대회’가 열린 광주국제양궁장과 5.18 민주광장에서 진행되며, 국제대회 운영 방식을 적용해 선수들에게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9월 26일 금융위원회가 주관한 ‘2025년 상반기 기술금융 테크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기술금융은 담보 능력 대신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평가해 자금을 지원하는 제도로, 기업은행의 2025년 6월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124.9조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말 대비 9.9조 원 증가한 수치로, 시장 점유율은 40.6%에 달한다.기업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4회 연속 1위를 차지하며 기술금융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확고히 했다. 이번 성과는 기술 우수 기업의 선제적 발굴, 현장 중심 심사체계 고도화, 기술정보 통합 DB 구축 등 실행력 강화를 통해 이룬 결과라는 평가다.기업은행 관계자는 “첨단산
NH농협은행이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2025 가명정보 활용 경진대회’에서 활용 우수사례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보건복지부 장관상이 수여되는 영예로, 농협은행의 사회적 가치 창출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다.농협은행은 독거노인과 시니어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해 금융거래(여·수신·카드) 및 유통정보, NICE평가정보의 개인신용평가정보,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정보를 가명 결합해 ‘시니어 고립 위험 탐지 모델’을 개발했다.이 모델은 시니어 고립 위험 징후를 경제적 취약성, 사회 단절성, 활동 위축성으로 나누어 점수화하고, 이를 통해 고립 위험 수준을 체계적
AI 기반 혈액 및 암 진단 기업 노을주식회사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유럽 열대의학 및 국제보건 학술대회(ECTMIH 2025)에서 자사의 AI 말라리아 진단 플랫폼 miLab™ MAL의 실사용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말라위 리롱궤 브와일라 병원에서 진행됐으며, 총 6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iLab, 신속진단검사(RDT), 표준 현미경 검사의 정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miLab의 민감도는 98.4%, 특이도는 99.8%, 전체 정확도는 99.5%로 나타났다. (P. falciparum 기준)노을은 해당 결과가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AI 기반 진단 기술이 충분히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임찬양 대표는 “이번 연구는
글로벌 면역치료 기업 네오이뮨텍은 지난달 21일부터 24일까지 미국 푸에르토리코 산후안에서 열린 미국 방사선연구학회(RRS)에서 NT-I7(efineptakin alfa)의 급성 방사선 증후군(ARS) 관련 면역 회복 기전을 발표했다고 밝혔다.듀크대 의대 소속이자 네오이뮨텍 과학자문위원인 베니 첸 박사 연구팀은 방사선에 노출된 마우스 모델에서 NT-I7이 T세포뿐 아니라 호중구, 단구 등 선천면역세포 회복도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5 Gy 전신 방사선에 노출된 동물에 주 1회 10mg/kg씩 총 4회 투여한 결과, T세포와 선천면역세포가 빠르게 회복됐다.베니 첸 박사는 “NT-I7은 방사선 손상 후 T세포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첫 치료제로 가능성을
에스티큐브(052020)는 BTN1A1 타깃 면역항암제 ‘넬마스토바트’ 연구 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학술무대에서 입지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지난 9월 세계폐암학회(WCLC)에 이어, 오는 10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와 11월 면역항암학회(SITC)에서도 전임상과 임상 결과를 연달아 발표할 예정이다.이번 ESMO에서는 대장암과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BTN1A1의 임상적 가치와 치료 가능성을 다룬 초록 2건이 발표된다. 첫 번째 초록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와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해 BTN1A1 억제제 병용 효과를 평가한 연구다.두 번째 초록은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의 임상 효과를 BTN1A1 발현(H-Score)과 다중
JW중외제약 공익재단인 JW이종호재단이 ‘2025 기초과학자 장학생’을 10월 31일까지 모집한다고 1일 밝혔다.기초과학 연구자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주거 임차료를 지원하는 이 사업은 국내 제약업계에서 처음 시작돼 올해로 6년째를 맞았다. 지금까지 총 56명이 장학생으로 선정됐으며, 지난해에는 12명이 지원받았다.지원 대상은 국내외 석·박사 통합과정 3년 이상이거나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기초과학 분야(생명과학, 의료공학, 의약화학) 내국인 연구자다. 해외 거주 연구자도 지원 가능하며, 연구 에세이와 계획서 등을 제출하면 된다.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12월 4일 최종 합격자가 발표된다. 선발된 연구자는 최대 3년간 연간
제일약품은 지난달 30일 용인 백암공장에서 2025년 재난 대응 종합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이번 훈련은 유해화학물질 누출과 화재 등 비상 상황을 가정해 실제 대응 절차를 점검하고 대응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관련 법규인 위험물안전관리법, 소방시설법,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시행됐다.제일약품과 제일헬스사이언스 직원 53명, 백암119안전센터, 용인시 기후대기과 등 총 67명이 참여했다. 훈련은 휴대용 소화기 사용, 옥외소화전과 소방차 살수, 2차 피해 방지, 안전물자 반출 등으로 구성됐다.제일약품 관계자는 “이번 훈련으로 실제 재난 상황에서 초기 대응과 현장 대처 능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유관
대한뇌졸중학회는 지난달 27일 부산 해운대백병원에서 ‘2025 한국 뇌졸중 네트워크(KSN)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뇌졸중 치료에 참여하는 다양한 인력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최신 치료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특히, 뇌졸중 환자 이송에 현장에서 힘쓰는 119 소방대원을 위한 ‘코리안 스트록 엔젤스’ 시상식이 올해 처음 진행됐다. 최근 2년간 ‘브레인세이버’ 인증을 가장 많이 받은 전국 20명의 소방대원이 수상자로 선정돼 의미를 더했다.행사에서는 뇌졸중센터 인증제도, 병원 전 단계 응급 이송 체계, 소방청과의 협력 등 국가 차원의 뇌졸중 대응 강화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이와 함께 뇌졸중 등록사
YOKOHAMA, Japan — Samsung Biologics, a leading South Korean 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CDMO), will participate in Bio Japan 2025, Asia’s largest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exhibition, from October 8 to 10 in Yokohama, Japan. The company announced it will operate a standalone booth for the first time, marking its third consecutive appearance at the event.Bio Japan, established in 1986, is a premier industry gathering that spans biopharmaceuticals, regenerative medicine, and digital healthcare. This year’s event expects participation from 1,139 companies and mo
듀켐바이오가 2025년 방사선 과학기술 및 산업진흥 유공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30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국방사선진흥협회 창립 40주년 기념 행사에서 진행됐다.2002년 설립된 듀켐바이오는 국내 방사성의약품 전문 기업으로, 종양학과 신경학 분야 PET 영상진단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했다. 전국 12개 제조소를 운영하며 주요 병원과 연구기관과 협력 중이다. 2021년 케어캠프와 합병해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치료제 수출과 CDMO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듀켐바이오는 치매 치료제 ‘레켐비’ 출시 이후 PET/CT 수요가 늘면서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다음달 8일부터 10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바이오·제약 전시회 ‘바이오 재팬 2025’에 단독 부스로 참가한다고 밝혔다.1986년 시작된 바이오 재팬은 바이오의약품부터 재생의료, 디지털 헬스케어까지 아우르는 아시아 대표 행사로, 올해는 1139개 기업과 1만8000명 이상이 참여할 예정이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부터 3년 연속 참가하며, 올해는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마련해 글로벌 톱 20 제약사뿐 아니라 톱 40위권 제약사까지 고객군을 넓히는 데 주력한다.부스에서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생산 역량, 5공장(18만L 포함) 등 총 78.4만L 규모의 생산능력, 그리고 위탁개발(CDO) 플랫폼 등 차별
최선영 중앙대학교광명병원 피부과 교수가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5 유럽피부과학회(EADV)에서 장학상을 받았다고 밝혔다.EADV 장학상은 전 세계 피부과 연구자 중 학문적 성취와 연구 잠재력을 인정받은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국제 학술 교류와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최 교수는 지금까지 98편의 SCIE 논문을 발표하며 활발히 연구해 왔으며, 이번 수상으로 학문적 기여와 성과를 인정받았다.이번 수상은 중앙대광명병원 피부과 연구력을 알리고, 향후 국제 공동연구와 학술 교류 확대의 계기가 될 전망이다.최선영 교수는 “권위 있는 학회에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영광이며, 앞으로도 피부과학 발전과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이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IBK 아트스테이션 2025’의 두 번째 전시를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과 IBK파이낸스타워 로비에서 개최한다고 지난 29일 밝혔다.‘IBK 아트스테이션’은 2022년 시작돼 올해로 4회차를 맞은 기업은행의 대표 문화예술 지원 프로젝트다. 유망 신진작가에게 신작 제작비, 개인전 기회, 작품 홍보를 제공하며 문화예술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올해는 ‘공존’을 주제로 다섯 명의 작가가 참여해 각자의 시선과 해석을 담은 전시를 이어간다.첫 전시였던 김서울 작가의 ‘공존 : 낙원풍경’에 이어 이번 두 번째 전시는 이호준 작가의 ‘공존 : 조각접기’ 개인전이다. 이호준 작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