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원인을 알 수 없었던 면역결핍, 발달장애, 림프종을 앓아온 한 환자가 16년 만에 유전적 원인을 찾았다. 서울대병원과 중앙대 연구팀이 공동으로 BRF2 유전자 변이가 희귀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고, 이로 인한 질환 기전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는 채종희 서울대병원 교수팀과 김근필 중앙대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진은 미진단 희귀질환을 앓는 소아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전장 엑솜 시퀀싱을 진행했고, BRF2 유전자의 열성 변이가 질환과 연관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3차원 단백질 구조 분석과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해 변이의 세포 내 기능 변화를 정밀하게 추적했다.

BRF2는 세포 생존에 필요한 셀레노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단백질 생성에 핵심적인 SeCys tRNA를 만들어내는 복합체를 구성한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BRF2 변이는 이 복합체 형성을 방해해 SeCys tRNA가 감소했고, 이로 인해 항산화 작용을 하는 셀레노단백질(GPX4, GPX1 등)의 발현도 줄어들었다. 그 결과 세포는 산화스트레스에 취약해졌고, 면역 및 발달 과정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산화스트레스 상황에서는 BRF2 유전자 발현 자체가 억제돼 SeCys tRNA 생성이 더 줄어드는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도 밝혀졌다. 이는 세포 기능 전반에 연쇄적인 문제를 유발하며, 해당 질환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를 설명하는 단서로 작용할 수 있다.

(왼쪽부터) 채종희 서울대병원 교수, 김근필 중앙대 교수, 윤서빈 중앙대 박사, 이승복 서울대병원 교수, 권해윤 서울의대 학생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왼쪽부터) 채종희 서울대병원 교수, 김근필 중앙대 교수, 윤서빈 중앙대 박사, 이승복 서울대병원 교수, 권해윤 서울의대 학생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연구진은 손상된 세포에 항산화 물질인 셀레늄을 보충했을 때, GPX4 단백질 발현이 회복되는 현상도 확인했다. 이는 BRF2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적 접근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결과로 해석된다.

채종희 서울대병원 교수는 “진단조차 어려웠던 희귀질환 환자에게 실질적인 단서를 제공한 연구”라며 “환자와 가족, 연구진이 함께 오랜 시간 노력해 얻은 결과”라고 밝혔다. 중앙대 김근필 교수는 “향후 해당 유전자 기반의 치료 연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제 학술지 Molecular Therapy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