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제 세척만으로는 세균 완전 제거 어려워… 열탕 소독 효과 확인

이번 연구는 푸드서비스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면 행주와 개봉 직후 무균 상태로 확인된 부직포 행주를 실험 대상으로 설정해, 미생물 오염과 세균 증식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유한킴벌리 관계자는 “해당 연구는 푸드서비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면 행주와 개봉 직후 무균 상태로 확인된 부직포 행주를 실험군으로 선택했다”며 “재사용되는 행주의 오염을 고려하여, 실험은 미생물 주입, 세척(물, 세제류, 열탕소독), 실내 건조 시간에 따른 세균 증식 확인 순으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제류로 행주를 세척하더라도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으며, 건조 후에도 잔존 세균이 발견되어 증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0℃의 끓는 물에 5분 이상 열탕 소독을 실시한 경우에는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음식점 등에서 행주를 반복 사용하는 현실을 반영해 동일 실험을 5회 반복한 결과, 세균은 여전히 잔류했다. 특히 실내에서 행주를 수일간 건조 상태로 방치할 경우, 잔류 미생물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지연기를 거쳐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최대 1만 배 이상으로 증식하는 양상이 관찰됐다. 이 같은 패턴은 면 행주와 부직포 행주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박미소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