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자막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난청 환자에게 드라마나 예능 같은 TV 콘텐츠를 이해하는 데 분명한 도움이 된다. 하지만 자막에만 집중하면 보청기 착용을 줄이는 경우가 늘고, 이로 인해 청각 재활 효과가 떨어질 위험이 있다.

◇보청기는 단순 증폭기가 아닌 뇌와 귀의 훈련 도구

김영호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보청기는 단순히 소리를 키워주는 기계가 아니다. 꾸준한 착용을 통해 귀와 뇌가 소리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돕는 중요한 훈련 도구”라고 말한다.

보청기 사용을 게을리하면 청각 신경과 뇌가 충분한 자극을 받지 못해 ‘청각 박탈 효과(auditory deprivation)’가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면서 말소리 인지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보청기 착용을 꾸준히 하면서 자막은 보조로 활용해야 난청 환자의 청각과 뇌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보청기 착용을 꾸준히 하면서 자막은 보조로 활용해야 난청 환자의 청각과 뇌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자막은 보조 수단, 보청기는 필수 착용해야


자막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오히려 난청 환자가 내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다만 자막에 의존해 보청기 착용 시간이 줄어들면, 뇌가 소리를 해석할 기회를 잃고 청각 기능 유지에 불리하다.

김영호 교수는 “자막은 필요할 때만 활용하고, 보청기는 항상 착용해 청각 신경과 뇌를 꾸준히 자극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청각 건강법

작은 습관만 바꿔도 청각 박탈 효과를 줄일 수 있다. TV 시청 시 보청기를 함께 켜고, 먼저 소리를 듣고 자막은 놓친 부분만 확인하는 ‘페어 습관’을 추천한다. 주변 소음을 줄이고 스피커를 정면 가까이에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라디오, 팟캐스트 등 자막 없는 음성 매체를 보청기와 함께 듣는 것도 청각 재활에 효과적이다.

김영호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김영호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청각 유지가 곧 뇌 건강 지키기


청각은 단순히 듣는 능력뿐 아니라 뇌에서 소리를 해석하는 능력도 포함한다. 꾸준한 청각 자극은 뇌의 언어처리 네트워크를 활성화해 복잡한 말소리 처리 능력을 유지하게 돕는다. 난청 교정이 고령층 인지 저하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김 교수는 “듣는 힘을 지키는 일은 귀뿐 아니라 뇌 건강에도 직결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