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쉬기 힘든 ‘특발성 폐섬유증’ 조기 치료가 관건 뼈 먼저 상하는 다이어트, 골다공증 부른다 콩 섭취, 천식·당뇨·노쇠 개선에 긍정적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대두가공이용분과는 지난 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콩과 함께하는 삶: 생애 전 단계에서 건강을 누리다’를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콩이 영유아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최신 연구들이 소개됐다.조성호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 교수는 콩 이소플라본(제니스테인)이 천식 환자의 PAI-1 생성을 억제해 염증과 섬유화로 인한 기도 손상을 줄이고 천식 중증도를 낮출 수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한국 신생아 코호트 연구에서는 콩 기반 영유아식을 섭취한 아이들이 우유 기반 식사군보다 천식 위험이 약 7% 낮았다.Lin Xu 중국 중산대 교수는 콩 식품 섭취가 젊은 층 부정맥↑... 정기적 심전도 검사 필요해 심장 질환은 암 다음으로 국내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단일 장기 기준으로는 사망 원인 1위다. 과거에는 주로 고령층에서 발병했지만, 최근엔 30대 이하 젊은 층에서도 환자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은 자각 증상이 거의 없지만 돌연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부정맥 환자 수는 2018년 37만 명에서 2022년 46만 명을 넘어섰다. 80세 이상 환자가 가장 많지만, 증가율은 10대(33.5%)와 20대(32.3%)에서 가장 높았다. 전문가들은 과로, 스트레스, 수면 부족, 고카페인 음료 섭취 등이 젊은 층 부정맥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부정맥은 심장의 전기 '염증성 여드름' 빠르게 진정하는 5가지 방법 딱딱하고 붉게 부어오른 여드름은 염증이 동반된 상태로 만지면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염증성 여드름은 만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진단과 치료가 지연될 경우 얼굴에 흉터를 남길 수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염증 주사, 진정 기능이 있는 화장품, 식습관과 생활 습관 개선을 종합적으로 병행해야만 만성 염증성 여드름을 신속히 안정시킬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본 기사에서는 붉은 화농성 뾰루지를 빠르게 진정시키는 단계별 실전 가이드를 제시한다. ◇ 염증 주사, 하루 만에 진정 효과붉고 부어오른 화농성 여드름에는 염증 주사가 가장 빠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염증 주사는 스테로이드 계열 성분인 트리암시놀
헬스인뉴스 여름철 장관감염증 증가, 질병청 “음식 익히고 손 잘 씻어야”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장관감염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9일,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로 인해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장관감염증 환자가 최근 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질병청에 따르면 전국 210개 병원급 의료기관이 참여한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최근 5년간 장관감염증 발생은 증가 추세이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최근 4주간에는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살모넬라균 감염은 상온에 오래 둔 계란액이나 오염된 계란을 만진 뒤 손을 씻지 않고 식재료를 조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질병청은 껍질이 손상되 “휘어진 발, 참지 마세요” 무지외반증, 수술 필요한 신호들 2025.07.07 노인 걷기운동, 삶의 질에 큰 영향 2025.07.03 당뇨 여성, 질내 미생물 균형 무너져... “맞춤 치료 필요” 2025.07.01 2형당뇨 환자, 정신질환 있으면 사망률까지 껑충↑ 2025.06.20
건강·질병 “임플란트, 준비부터 관리까지 철저히” 이승일 원장, ‘대한민국 굿닥터 100인’ 선정 마디마다 욱신거리는 손가락 통증... '손가락 골절' 의심! 상쾌환 제로 라인업, 누적 1200만 개 판매 삼양사는 숙취해소 브랜드 ‘상쾌환’ 제로(ZERO) 제품 3종의 누적 판매량이 지난달 기준 1200만 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음료형 제품인 ‘상쾌환 부스터 제로’는 약 777만 개, 젤리형 스틱 제품인 ‘상쾌환 스틱 제로’ 2종은 약 5... 덥고 습한 여름, '무좀' 재발 주의... 대처법은? 본격적인 여름철, 습도가 높아지면서 피부 질환 환자가 급증한다. 특히 ‘무좀’이라 불리는 백선은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곰팡이 감염증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균이 활발히 증식해 환자 수가 늘어난다.노주영 이대서울병원 피부과 교수는 ...
기획·연재 기획·연재 홈쇼핑 판박이 된 라이브쇼핑, 거짓 약발로 소비자 우롱 “난임에 좋고~, 혈당 낮춰주고~, 다이어트에 정말 도움 되고~” “피부도 좋아지고~, 붓기 빼주고~, 한 포면 끝~!” 말만 들으면 만병통치약이 따로 없다. 최근 온라인 실시간 쇼핑방송, 일명 ‘라방’(라이브커머스)에서 마치 약처럼 소개되는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알고 보면 그 효과는 ‘말뿐’이다. 식품... 기획·연재 [Now Bio]세포핵 주름이 유전자 발현 뒤흔든다 세포 외부의 물리적 자극이 세포핵막에 ‘주름’을 만들고, 이 구조 변화가 염색질 재배열과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어 노화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노화는 유전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포핵의 주름이 인생의 시계를 빠르게 돌린다.”고려대학교 융합에너지공학과 김동휘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기획·연재 [Now Bio]‘작은 주머니’ 비밀…세포는 어떻게 서로 치유하나? 글로벌 바이오 의학계를 향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던진 한 줄기 빛과도 같은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세포 안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핵심 효소인 프로테아좀(Proteasome)이 세포 밖 소포체(EV, Extracellular Vesicle)에 실려 다른 세포로 전파되고, 그곳에서도 병인 단백질을 분해한다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규명된 것이... 기획·연재 [Now Pharm]암연구학회서 쏟아진 혁신 신약 집중분석 전 세계 암 연구의 중심이 시카고로 옮겨왔다. 지난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5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는 단순한 학술대회를 넘어,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이 암을 어떤 방식으로 극복해나갈지에 대한 청사진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특히 올해는 ‘면역항암’과 ‘mRNA 플랫폼’, 그리고 인... 기획·연재 [기획]제품에서 읽는 ESG① LG 올레드TV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전 세계의 흐름 속에서, 친환경 경영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 되었다. 특히 탄소중립, 자원순환, 사회적 책임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가 기업 경영의 핵심 지표로 부상하면서, 이제 기업들은 제품 하나, 기술 하나에서도 지속가능성을 요구받고 있다. LG전자는 탄소중립 목표를 실...
보건·의료 보건정책/의료 결핵 없는 미래 향해... 질병관리청장 현장 점검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9일 국립마산병원과 국제결핵연구소를 방문해 결핵 퇴치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국립마산병원은 다제내성 결핵 등 난치성 결핵 환자 치료와 연구를 담당하는 국립 결핵전문병원이다. 무연고자, 노숙인, 의료급여 및 차상위 계층 등 의료 취약계층에 치료비, 간병비, 이송비, 영... 보건정책/의료 홍천군정신건강복지센터, 취약계층에 ‘시원 키트’ 배부… 온열질환 예방 총력 홍천군정신건강복지센터는 본격적인 여름철 불볕더위에 대비해, 등록 회원 285명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시원 키트’를 오늘(9일)부터 3일간 배부한다고 밝혔다.이번에 제공되는 ‘시원 키트’는 무더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물품들로 구성됐다. 쿨토시, 쿨스카프, 햇빛 차단 모자, 부채, 벌레 기피제 등이... 보건정책/의료 질병관리청, 여름철 장관감염증 예방 수칙 강조 질병관리청은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음식과 물로 발생하는 장관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며, 시민들에게 올바른 손 씻기와 안전한 음식 섭취 등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전국 210개 병원급 의료기관이 참여한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장관... 보건정책/의료 식약처, 커피전문점·편의점 얼음 451건 수거검사… 6건 세균 기준 초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 편의점 등에서 아이스 음료에 사용되는 식용얼음 451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이 중 6건이 세균수 기준을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오늘 밝혔다. 해당 제품들은 관할 지자체를 통해 행정처분 또는 회수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이번 수거·검사는 여름철을 맞아 식용얼... 보건정책/의료 서울시, 복지시설 공익제보 매뉴얼 제작…제도 인지도 및 활용도 높인다 서울시는 관내 복지시설 운영자와 종사자들이 공익제보 제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알기 쉬운! 서울시 복지시설 공익제보 매뉴얼’을 제작해 7월 중 배포 및 게시할 예정이라고 오늘 밝혔다.이번 매뉴얼은 서울도서관과 각 자치구 및 복지시설 관련 협회 누리집 등에 전자파일 형태로 공...
제약·바이오 제약산업/유통 한국화이자제약, ‘서울마이트리’ 도시숲 확대 업무협약 체결 한국화이자제약은 (사)생명의숲과 서울 도심 녹지 확대를 위한 ‘서울마이트리’ 프로젝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이번 협약은 서울시 공원에 나무를 심어 도시 생태계를 회복하고 시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됐다. 한국화이자제약은 ESG 이니셔티브 ‘더 건강한 세상을 위한 움직임(Moves for a ... 바이오/헬스케어 췌장암 난치 원인, '가짜내성'에서 해답 찾았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가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 연구를 통해 암 치료 실패 원인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암 치료가 80년간 실패한 이유는 암세포 유전자 변이 때문이 아니라, 약물이 암세포에 도달하지 못하는 ‘가짜내성’ 때문임을 입증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연구진은 실제 환자의 췌장암 조직으로 ... 바이오/헬스케어 네오이뮨텍,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 FDA 허가 준비 박차 네오이뮨텍은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제 후보물질인 NT-I7(Efineptakin alfa)의 영장류 실험에서 첫 번째 투여를 모두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지난해 설치류 모델에서 생존율 개선 효과를 확인한 후, 현재 미국 찰스리버 연구소에서 영장류를 대상으로 NT-I7의 림프구 회복과 생존율 개선 여부를 검증 중이다. 총 48마리... 바이오/헬스케어 안지오랩, 치주건강 원료 美 FDA 승인 안지오랩은 자체 개발한 치주건강 기능성 원료 ‘ALH-L1005’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규 건강기능식품 원료(New Dietary Ingredient, NDI #1397) 승인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ALH-L1005’는 천연물 기반 원료로, 국내에서 치주염 치료제로 임상 2상을 완료한 물질을 건강기능식품 형태로 전환한 제품이다. 염증... 바이오/헬스케어 엘앤케이바이오메드, ‘BluEx-TM’ 美 FDA 승인 엘앤케이바이오메드는 척추 임플란트 신제품 ‘BluEx-TM’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승인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BluEx-TM’은 기존 제품인 ‘PathLoc-TM’에 BluEx 시리즈의 표면 처리 기술을 적용한 모델로, 유통망과 영업 전략에 맞춰 제품명을 구분해 출시됐다. 이번 FDA 승인으로 회사는 미국 전역을 대...
HI인터뷰 [HI인터뷰] '모발의 방향과 밀도 정밀 조절'로 자연스러운 모발이식 결과 2024-10-17 | HI인터뷰 대한모발이식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하고 세계모발이식학회(ISHRS)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회원 중 자격을 심사해 주어지는 펠로우 멤버를 국내... [HI인터뷰] 질병의 근원은 세포, “PDRN으로 세포치료의 길을 열다” 2024-09-30 | HI인터뷰 “PDRN과의 인연은 우연처럼 다가왔습니다. 제가 운영하고 있는병원에 핀란드 대학 교수님께서 시술을 받으러 방문하신 적이 있는데 명함을... [HI인터뷰] 치과 진료의 상당수는 잇몸 질환, PDRN이 '게임체인저'로 떠오른다 2024-08-16 | HI인터뷰 “치과 환자분들이 가장 많이 갖는 불편함은 잇몸의 염증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잇몸이 약해지거나 생활습관, 식습관 등에 의해 잇몸 질환 ... 진단 어려운 희귀난치질환 '폐동맥고혈압', 치료급여 확대 절실 [HI인터뷰] 2024-03-29 | HI인터뷰 많은 이들에게 익숙한 고혈압과 달리 폐동맥고혈압은 낯설다. 폐동맥고혈압은 신생아부터 성인까지 모든 연령대에 발병할 수 있고 자칫 잘못... “비만치료, 오젬픽‧마운자로 나와도 ‘이 것’ 안되면 큰 영향 없어” [HI인터뷰] 2023-12-12 | HI인터뷰 1996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질병으로 정의했다. 신체의 기능 이상을 유발하여 일상생활과 심지어 생명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전문가칼럼 “아이가 편도선 때문에 병원을 자주가요” 올여름 더 주의해야 하는 이유 [이진석 원장 칼럼] 여름철에 더 두드러지는 얼굴선... 리프팅 시기 지금이 적기 [신동윤 원장 칼럼] 충치, 방치할수록 치료는 복잡해진다 [강용욱 원장 칼럼]
Medical Korea 1 Barley Tea: Korea’s Time-Honored Elixir for Modern Wellness 2 Inha University Hospital Shines in 2025 Newsweek Asia-Pacific Specialty Rankings 3 Cheongju TOP Hospital Appoints Dr. Kook In-cheol to Lead Orthopedic Joint Care 4 Acne Scar Treatment Program Launched at Human Dermatology Clinic Seoul National University Branch 5 Understanding Osgood-Schlatter Disease: A Common Cause of Knee Pain in Growing Children 6 GentleMax Pro Laser Hair Removal: Preparing Skin for Summer 7 Rotator Cuff Tears: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s 8 Summer Eye Safety: Preventing Infections at Pools and Water Parks
생활경제 연세유업, 단짠 디저트 신제품 ‘연세우유 황치즈 맘모스’ 출시 이디야커피×산리오 협업 음료, 일 평균 1만잔 판매 돌파 속초시, 저소득층 대상 ‘LH 기존주택전세임대’ 입주자 모집 경남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준비 박차 서울시교육청, ‘미래 서울특수교육 상상 정책포럼’ 개최 홈플러스, '홈플 히트상품 위크' 행사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