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근 피부과 영역에서는 ‘스킨부스터(Skin Booster)’가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주름 완화나 미백 차원을 넘어, 피부 구조와 기능을 개선해 장기적 건강을 추구하는 접근법으로 연구 및 시술이 진행되고 있다.
스킨부스터는 피부에 직접 주입해 수분 공급, 세포 재생, 콜라겐 생성 촉진 등을 유도하는 주사 치료를 총칭한다. 종류와 적응증이 다양하며, 환자의 피부 상태·연령·개인적 목표에 따라 선택이 필요하다. 단일 성분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 환자 상태를 분석한 후 맞춤 조합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 시술로는, 물광주사가 피부 보습을 높이고 촉촉한 결을 만드는 데 활용되며, 더모톡신과 병행하면 모공 수축과 잔주름 완화 효과가 관찰되기도 한다. 리쥬란은 진피층 회복과 염증 완화에 주로 사용되며, 울트라콜은 콜라겐 생성 촉진을 통해 피부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쥬베룩은 미세입자 구조로 흉터 및 피부결 개선에 사용되며, 올리디아는 중간층 피부 리모델링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스컬트라는 서서히 분해되면서 장기적으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며, 레스틸렌과 바이리즌은 필러 계열 스킨부스터로 여러 연령대에서 시술된다.
양호준 맑은윤의원 구의점 원장
스킨부스터 선택 시에는 단순히 인기나 유행에 따라 결정하기보다, 환자의 피부 상태에 맞는 정밀 진단과 설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잦은 트러블로 피부 장벽이 약한 경우에는 리쥬란이, 탄력 저하가 뚜렷한 경우에는 울트라콜이나 스컬트라가 고려될 수 있다.
시술 안전성도 중요한 요소로, 모든 주사 시술에서는 멸균 기법을 준수하고, 주입 깊이와 용량을 피부 타입별로 조절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는 과도한 붓기나 색소 침착 등의 부작용 예방에 기여한다.
전문가들은 스킨부스터 시장 확대를 피부 재생의학 트렌드로 보고 있으며, 단기적 효과보다 피부 본연의 회복 능력을 강화하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