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매개체인 얼룩날개모기류는 31주차(7월 27일~8월 2일)에 채집된 표본에서 감염이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국방부 및 지자체와 협력해 4~10월 동안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모기 개체 수와 감염률을 지속 감시하고 있다.
올해 누적 매개모기 개체 수는 전년 대비 54.4% 감소했지만, 29주차 이후 강수량 증가로 개체 수가 다시 늘고 있다. 31주차에는 평년 대비 46.9%, 전년 대비 24.1%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 6월 20일 매개모기 증가로 ‘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8월 13일 기준 총 8개 지역에 ‘경보’가 내려졌으며, 이번 양성 모기 확인으로 전국 확대 조치가 이뤄졌다. 현재 국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373명으로, 전년 동기(443명) 대비 18.8% 줄었다.
올해 확인된 말라리아 군집사례는 총 16건으로, 모두 환자 간 증상 발현 간격이 2주 이내이며, 거주지 간 거리가 1km 이내인 경우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수치다.
주요 감염 경로는 저녁 시간 야외활동 중 땀을 흘린 상태로 모기에 물리는 경우가 많으며, 호수공원이나 물웅덩이 인근 거주자도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신속히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