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사랑니는 어금니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로,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맹출한다. 일부는 정상적으로 자라 문제가 없지만, 상당수는 턱뼈 공간 부족으로 비스듬히 누워 자라거나 잇몸에 매복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음식물이 쉽게 끼거나 칫솔질이 어려워 염증과 충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주변 치아를 압박해 치열 변형을 유발할 수 있어 발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사랑니 발치를 단순한 발치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사랑니는 위치상 신경과 맞닿아 있는 경우가 많아 부주의한 시술은 신경 손상, 턱뼈 손상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뿌리가 하치조신경관과 겹치는 경우에는 정밀검사와 고도의 술식이 요구된다.

이창현 세상모든사랑니치과 대표원장
이창현 세상모든사랑니치과 대표원장
사랑니 발치를 계획할 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여부가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강악안면외과는 치과 내에서 구강, 턱뼈, 안면 부위의 외과적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분과다. 특히 매복 사랑니 발치와 같은 고난도 수술 경험이 많아 안전성 측면에서 주목받는다.

사랑니 발치는 단순한 치아 발치와 달리 해부학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수술이다. 매복 사랑니는 인접한 신경 구조와의 연관성 때문에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진료가 권장된다.

또한, 발치 후 감염이나 합병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의료진 정확한 판단과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환자들은 치료를 받기 전 해당 치과에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가 직접 진료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이창현 세상모든사랑니치과 대표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