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의료연구원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PACEN)은 최근 해당 연구의 임상적 가치평가를 발표하며, 국내 심근경색 환자 치료 가이드라인 정교화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LDL 수치 50% 이상 낮추면 사망·재발 위험 뚜렷하게 감소
PACEN이 지원한 ‘한국인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최적의 LDL 콜레스테롤 목표치 설정 연구’(연구책임자: 김원 교수, 경희의대)는 2011~2015년 급성심근경색 환자 6248명을 분석한 대규모 후향적 연구다.
분석 결과, LDL 수치를 기저치 대비 50% 이상 낮춘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5년 내 주요 심혈관사건 발생 위험이 24% 낮았다(위험비 0.76).
LDL 수치를 90mg/dL 이상, 70~89, 55~69, 55 미만 네 구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중간 범위(5589mg/dL)에서 전반적으로 위험이 가장 낮았다.
특히, 55~69mg/dL에선 주요 심혈관사건 위험이, 70~89mg/dL에선 사망 위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LDL 수치와 사망 위험 간의 연속적 관계 분석에서는 74mg/dL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 이후 수치가 더 낮아질수록 오히려 위험이 증가하는 ‘J자형 곡선’ 양상을 보였다. 즉, 수치를 과도하게 낮추는 것이 반드시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국내외 가이드라인은 심근경색 환자의 LDL 목표를 기저치 대비 50% 이상 감소 및 절대 수치 55mg/dL 미만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55mg/dL 미만의 추가 이점이 뚜렷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임상 전문가들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절대 수치로는 70mg/dL 정도가 적절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확정하려면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임상연구가 필요하다는 점도 함께 제기됐다.
◇환자 60% 목표 미달... 정기 검사·협력 치료가 관건
이번 연구는 진료 현장에서 LDL-콜레스테롤 관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도 드러냈다. 실제로 환자의 약 60%는 기저치 대비 50% 감소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며, 정기적인 LDL 검사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LDL 수치 관리는 의료진의 처방뿐만 아니라 환자의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함께 이뤄져야 효과가 있다”며, 의료진-환자 간 협력 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고가 약제를 포함한 다양한 약물 전략과, 국내 상황에 맞춘 환자 등록자료 구축을 통해 데이터 기반 진료체계를 정비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PACEN 임상 가치평가 보고서는 PACEN 공식 홈페이지 에서 열람할 수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