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국은 인공지능(AI) 발전의 병목현상을 풀어내는 테스트베드(시험장)가 될 것”이라며 AI 산업의 핵심 허브로서 한국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국은 인공지능(AI) 발전의 병목현상을 풀어내는 테스트베드(시험장)가 될 것”이라며 AI 산업의 핵심 허브로서 한국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미지 제공=SK그룹)
최 회장은 지난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 참석해 “AI가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반도체와 에너지 인프라가 산업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병목현상을 해소할 국가가 한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SK그룹이 주관하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CEO 서밋 부대 행사로 진행됐다. 포럼 주제는 ‘AI 시대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이었다.
최 회장은 환영사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다”며 “관세 문제에서도 AI가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 역량에 따라 개인, 기업, 국가 간 격차가 커질 것”이라며 “민관 협력 기반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인프라 병목 현상을 한국 혼자서 다 풀 수는 없지만, 한국이 글로벌 AI 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지난해 ‘SK AI 서밋’에서도 반도체와 에너지 인프라를 AI 발전의 제약 요소로 지목한 바 있다.
이날 포럼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CEO,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또한 스탠포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의 최예진 교수와 딜로이트 글로벌AI리더 니틴 미탈 등 세계적 석학들도 함께했다.
매트 가먼 AWS CEO와 니틴 미탈 딜로이트 리더는 ‘AI와 지역 혁신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나누며, AI가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방향을 논의했다.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은 각 기업의 AI 혁신 전략과 산업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SK그룹은 이번 포럼과 함께 경주엑스포대공원에서 진행 중인 ‘K-테크 쇼케이스’에도 참여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SK는 AWS와 협력해 울산에 100메가와트(㎿)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2027년 완공 목표로 구축 중이며, 최근 오픈AI와도 서남권 지역 AI 데이터센터 구축 협력에 합의했다.
SK그룹 관계자는 “2025 APEC을 계기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 자립과 협력이라는 두 축의 AI 발전 전략이 한국과 아시아, 나아가 글로벌 AI 산업의 방향성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며 “다음 달 열리는 ‘SK AI 서밋’에서도 SK가 추구하는 자립형 AI 생태계의 비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